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스피노자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07월 19일 20시 50분
조회수
185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1. 사유 능력이란 무엇을 인식하는 정신의 능력을 말합니다. 욕구를 의식한다는 것은 코나투스가 정신과 신체에 동시에 관련되어 있음을 명료하게 인식함을 의미합니다. 2. 에티카에 나오는 기쁨에 대한 스피노자의 첫 번째 정의입니다. 이후 수동적 감정과 능동적 감정에 대한 논의를 거친 후 스피노자는 기쁨의 정의에서 수동을 제외합니다. 3. 기쁨은 ‘완전성 그 자체’가 아니라 ‘완전성으로의 이행’을 지시하는 개념입니다. 감정이 신체와 정신에 있어서의 변용이라는 점을 상기하시면 이해하시리라 생각합니다. 4. 정확히 말해서 행위 역량의 증진이 기쁨이 아니라 더 큰 완전성으로의 이행이 기쁨입니다. 사유 혹은 사유 능력은 정신에 본질적 성격입니다. 따라서 정신이 보다 작은 완전성에서 큰 완전성으로 이행한다는 것은 정신의 역량, 즉 사유 능력이 보다 큰 완전성으로 이행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 [박민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십니까 고생이 많으십니다! 강의를 2번 듣고 궁금한 점이 많아 질문드립니다! 1) 욕구에서 이미 '사유능력'과 관련이 되었는데, '욕망'에서 '의식'을 동반한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의식'이란 무엇이고 특히 '사유능력'과 어떠한 차이가 있나요?(156p.) 2) 왜 기쁨이 '정신보다 큰 완전성으로 이행하는 수동'이라고 되어있나요? 기쁨은 수동과 능동으로 나누어 지지 않나요?(157p. 첫 번째 인용문) 3) 기쁨은 '완전성' 자체가 아니라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157p. 첫 번째 인용문) 4) 행위 역량의 증진이 기쁨인데, 왜 기쁨의 정의는 '인간의 정신이 보다 작은 완전성에서 큰 완전성으로의 이행' 인가요? 사유와 연장이라는 두 속성에서 '사유'를 증진시키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은 알고 있으나 왜 '정신'으로 정의를 한정짓는 것인가요? (157p. 초반부)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