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헤어 관련 질문
- 작성자
- 권가연
- 등록일
- 2022년 07월 24일 18시 00분
- 조회수
- 75
- 첨부파일
-
*헤어에 대해 공부하다 도덕판단과 도덕원리의 정의에 대해 의문이 생겨 다른 수강생의 답변을 찾아보았습니다. 아래의 답변을 읽어도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
헤어에 의하면, 도덕판단의 하나의 본질은 보편화가능성입니다. 도덕판단이 보편화 가능하다는 것은 그것이 형식적인 논리 규칙에 부합함을 의미합니다. 달리 말해서 형식적인 논리 규칙을 위반하는 판단은 도덕판단이 아닙니다. 이처럼 행위의 원리를 선택하는 과정과 도덕판단을 올바르게 내리는 과정은 다른 과정입니다. 즉, 최종적인 행위의 원리는 나의 결단을 통해 확립되지만, 그러한 원리를 전제로 하여 어떤 도덕판단을 내리는 과정은 형식적인 논리 규칙을 적용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도덕판단의 또 다른 본질인 규정성은 도덕판단이 가지는 규정적 의미로부터 나옵니다.
----------------------------------------------------------------------------------------------------
질문1. '보편적 행위의 원리에 대한 숙고적 결단'은 도덕원리에 대한 정의인지 도덕판단에 대한 정의인지 궁금합니다.
질문2. 위의 답변에서 '형식적인 논리규칙'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질문3. 도덕원리를 정하는 것도 결단이고, 도덕판단을 도출할때도 결단으로 하는 것일까요?
질문4. 도덕원리를 정할때도 사실판단을 사용하고 도덕판단을 할때도 사실판단을 사용해 정한다고 봐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5. 위 답변중 '그리고 도덕판단의 또 다른 본질인 규정성은 도덕판단이 가지는 규정적 의미로부터 나옵니다.'에서 도덕판단이 가지는 규정적 의미는 도덕원리에서 나오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강의 내용 관련 질문입니다.
----------------------------------------------------------------------------------------------------
나는 이러한 자연주의의 입장에 반대한다. 도덕판단은 사실판단과는 언제나 혹은 적어도 간접적으로는 우리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현재나 미래의 선택을 인도하려고 하는 판단으로서, 권장라는 규정적 의미를 지닌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도덕판단은 사실판단에 의해서만 정당화될 수 없으며, 올바른 행위의 원리의 문제는 궁극적으로는 인
식의 문제가 아니고 개인의 [자유로운 결단]의 문제이다.
----------------------------------------------------------------------------------------------------
질문6. 위의 헤어 원문에서 [자유로운 결단]은 도덕원리를 자유롭게 결단한다는 말인지, 도덕판단의 특징에 대한 설명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