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키르케고르 절망
- 작성자
- 김예진
- 등록일
- 2022년 07월 30일 10시 41분
- 조회수
- 102
- 첨부파일
-
키르케고르의 절망의 유형에서 절망을 알지 못하는 절망과 절망을 아는 절망 두 유형으로 나뉘는 것까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교수님의 동서양 교재와 7-8월 및 기출 교재의 분류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1. 동서양 윤리 교재에는 절망을 알지 못하는 절망에 무지, 대중, 약한 여성, 강한 남성의 절망이 포함되어 있고 절망을 아는 절망이 본래적 실존 회복의 계기라고 되어 있습니다.
2. 그런데, 7-8월 보충 자료와 기출분석 교재 이론 설명에는 절망을 알지 못하는 절망에 무지, 대중의 절망이 포함되어 있고
절망을 아는 절망에 약한 여성의 절망과 강한 남성의 절망이 분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강한 남성의 절망이 본래적 실존 회복의 계기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제가 제대로 읽은 것이 맞다면 두 표현이 상이한 것 같은데, 어느 쪽이 맞는 것일까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