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나딩스, 스티븐슨, 헤어
- 작성자
- 배다영
- 등록일
- 2022년 08월 05일 22시 20분
- 조회수
- 115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나딩스, 스티븐슨, 헤어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나딩스>
윤리적 자아랑 윤리적 이상이 하는 일이 헷갈립니다 ㅠㅠ
윤리적 자아: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이고 능동적인 관계
윤리적 이상: 최상의 자아에 대한 관점
최상의 자아: 배려하고 배려받는 나 자신의 최선의 모습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1. 윤리적 자아랑 윤리적 이성 둘 다 도덕적 행동을 하게끔 한다는 것은 알겠는데,구체적으로 어떤 프로세스를 거쳐서 배려의 행동이 나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자연적 배려의 감정이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 닥침 -> 윤리적 자아를 깨닫고 윤리적 이상을 지향하고자 함 -> 억제된 자연적 배려의 감정 증폭 -> 윤리적 배려 이렇게 되는 것인가요?
2. 윤리적 자아의 개념에서 말하는 이상적 자아란 최상의 자아를 말하는 것인가요?
<스티븐슨>
스티븐슨은 도덕 문제에 대한 의견 대립을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 방법은 없다고 말했는데, 또 주석엔 합리적으로 대립을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가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소견의 불일치로부터 태도의 불일치가 나오는 경우)
1. 그럼 의견 대립을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 방법이 있긴 한 것 아닌가요?
2. 소견의 불일치와 태도의 불일치는 필연적, 논리적 관계가 아닌데 왜 소견의 불일치의 해소를 통해 의견 대립을 해결하는 방법을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하는 것인가요? 소견의 일치가 무조건 태도의 일치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더라도 소견의 일치가 태도의 일치를 가져올 때가 있고, 그 때 합리적이라는 뜻인가요?
<헤어>
1. 헤어의 보편적 규정주의는 규정적 언어가 논리를 가진다고 보기 때문에 헤어의 초기 이론과 달리 인지주의에 속하는 것인가요?
2. 헤어가 두 전제로부터 사실 판단만으로는 도덕 판단의 충분한 타당 근거를 확보할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하는데 형식적 논리 규칙으로부터 어떻게 그런 결론이 도출된 건가요?
3. 보충 자료 26쪽 타당한 도덕 판단의 구조에서 전제: 도덕 원리 + 사실 판단이라고 나와있는데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안 갑니다 ..
도덕 판단을 할 때 사실 판단에 기초하여 숙고 -> 결단하여 도덕 원리 도출 -> 그것을 전제로 하여 도덕 판단
이런 과정을 거치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