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장다은
- 등록일
- 2022년 08월 13일 21시 57분
- 조회수
- 86
- 첨부파일
-
5-6월 교과교육론
1. 프로이트
교재15p. 초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이 도덕성 형성 과정의 본질이라 했는데, 그렇다면 초자아=도덕성이라고 봐도 되나요?
2. 콜버그
교재64p. 저는 콜버그에게 도덕 원리는 정의의란 원리이고, 정의의 원리는 각 도덕성 발달 단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또한, 콜버그의 6단계에서 도덕원리는 정의의 보편적 원리이며, 이때 정의의 원리는 평등한 인권과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의 원리라고 이해힜습니다. 제가 맞게 이해한것인가요?
3. 긍정심리학
교재 158p. 긍정적 정서의 역할 중에서 사고-행위 레퍼토리를 확대하고, 심리적 레퍼토리를 형성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요?
4. 구성주의 도덕교육론
교재185p.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인간 정신의 기능은 '질적으로 구분되는 두 국면을 거쳐 발달한다고' 되어있는데, 이때 질적으로 구분되는 두 국면이
① 개인 정신 외부에 있는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발달함
② 사람들 사이의 영역에서 형성된 정신 기능은 개인 내적 영역에 자리 잡 내면화 과정을 거쳐 개인의 정신 내부에 자리 잡음
이 두 가지가 맞나요?
5.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교재 245p.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의 기본 원리를 적용함에 있어서의 유의 사항에 '숨겨진 의제를 분명히 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못한 대안들을 정당화시켜 주기 때문에, 상대주의로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때, '숨겨진 의제를 분명히 하는 것'이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6. 나바에즈
교재 148p. 나바에즈에게 윤리적 노하우와 윤리적 기술이 같은 개념인가요? 다르다면, 윤리적 노하우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7. 나딩스
교재 111p.에 '배려 윤리는 덕윤리학과 중요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덕윤리학의 한 형태는 아니다.'라고 되어있는데, 이때, 배려윤리와 덕윤리학이 공유하고 있는 중요한 특성이 무엇인가요?
8. 호프만
4-5월 기출문제분석 교재 821p.에서 죄책감의 형성 과정에서 사랑의 상실과 권위자에 대한 처벌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했는데, 왜 그런것인가요? 죄책감을 형성하는데 '사랑의 상실'과 '권위자에 대한 처벌'이 어떻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지 궁금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