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나딩스, 스티븐슨, 헤어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08월 16일 20시 57분
조회수
262
첨부파일
개인적 사정으로 답변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나딩스> 윤리적 자아란 일반적으로 도덕적 주체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그런데 나딩스의 윤리적 자아는 칸트의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도덕적 주체와는 그 성격이 다릅니다. 나딩스의 윤리적 자아는 내가 타인과 연결되어 있다는 관계성에 대한 인식에 근거하여 자각되는 자아, 즉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자아입니다. 이러한 윤리적 자아는 현상적 주체를 초월하여 자율적으로 도덕판단하는 주체가 아니라,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는 현실적 자아와 윤리적 이상, 즉 최상의 자아 혹은 이상적 자아와 연결하여 현실적 자아에게 윤리적 배려의 감정을 불러일으켜 윤리적 배려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아입니다. <스티븐슨> 만약 태도의 불일치가 소견의 불일치로부터 기인한 것이라면, 과학에서 사용하는 합리적 방법을 통해 해결 가능합니다. 왜냐하면 소견의 불일치는 사실에 관한 의견의 불일치이고 태도의 불일치의 기원이 그러한 소견의 불일치라면, 검증과 같은 객관적인 방법으로 사실에 관한 참인 의견을 확인함으로써 모든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스티븐슨에게 있어서 도덕에 있어서 의견 대립의 본질은 태도의 불일치이고, 도덕판단의 본질적 의미는 서술적 의미가 아니라 정의적 의미입니다. 따라서 합리적 방법만으로는 도덕에서의 의견 대립을 해소할 수 없습니다. 달리 말해서 합리적 방법은 도덕에서의 의견 대립을 해소할 수 있는 결정적인 방법이 될 수 없습니다. <헤어> 1. 헤어의 보편적 규정주의는 비인지주의에 속합니다. 헤어에 의하면, 도덕판단에는 논리적 형식이 있지만, 도덕판단은 본질적으로 규정적 판단이기 때문에 진리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 2. 헤어가 두 전제로부터 사실 판단만으로는 도덕 판단의 충분한 타당 근거를 확보할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하는데 형식적 논리 규칙으로부터 어떻게 그런 결론이 도출된 건가요? → 질문 내용과 의도를 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3. 헤어에 의하면, 도덕판단은 전제로부터 도출된 결론입니다. 도덕판단의 근거가 되는 전제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실판단 혹은 사실을 기술하는 언명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도덕판단은 언제나 사실적인 도덕적 문제 상황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당위 명제, 즉 도덕원리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규정성을 지닌 도덕판단이 도출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배다영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나딩스, 스티븐슨, 헤어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나딩스> 윤리적 자아랑 윤리적 이상이 하는 일이 헷갈립니다 ㅠㅠ 윤리적 자아: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이고 능동적인 관계 윤리적 이상: 최상의 자아에 대한 관점 최상의 자아: 배려하고 배려받는 나 자신의 최선의 모습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1. 윤리적 자아랑 윤리적 이성 둘 다 도덕적 행동을 하게끔 한다는 것은 알겠는데,구체적으로 어떤 프로세스를 거쳐서 배려의 행동이 나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자연적 배려의 감정이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 닥침 -> 윤리적 자아를 깨닫고 윤리적 이상을 지향하고자 함 -> 억제된 자연적 배려의 감정 증폭 -> 윤리적 배려 이렇게 되는 것인가요? 2. 윤리적 자아의 개념에서 말하는 이상적 자아란 최상의 자아를 말하는 것인가요? <스티븐슨> 스티븐슨은 도덕 문제에 대한 의견 대립을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 방법은 없다고 말했는데, 또 주석엔 합리적으로 대립을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가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소견의 불일치로부터 태도의 불일치가 나오는 경우) 1. 그럼 의견 대립을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 방법이 있긴 한 것 아닌가요? 2. 소견의 불일치와 태도의 불일치는 필연적, 논리적 관계가 아닌데 왜 소견의 불일치의 해소를 통해 의견 대립을 해결하는 방법을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하는 것인가요? 소견의 일치가 무조건 태도의 일치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더라도 소견의 일치가 태도의 일치를 가져올 때가 있고, 그 때 합리적이라는 뜻인가요? <헤어> 1. 헤어의 보편적 규정주의는 규정적 언어가 논리를 가진다고 보기 때문에 헤어의 초기 이론과 달리 인지주의에 속하는 것인가요? 2. 헤어가 두 전제로부터 사실 판단만으로는 도덕 판단의 충분한 타당 근거를 확보할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하는데 형식적 논리 규칙으로부터 어떻게 그런 결론이 도출된 건가요? 3. 보충 자료 26쪽 타당한 도덕 판단의 구조에서 전제: 도덕 원리 + 사실 판단이라고 나와있는데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안 갑니다 .. 도덕 판단을 할 때 사실 판단에 기초하여 숙고 -> 결단하여 도덕 원리 도출 -> 그것을 전제로 하여 도덕 판단 이런 과정을 거치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