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08월 22일 20시 37분
조회수
47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네. 2. 도덕성 발달의 각 단계에는 도덕적 추론을 위한 도덕 원리로서의 정의의 원리 혹은 옳음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 중 최상의 단계인 6단계의 정의의 원리는 보편적인 도덕 원리입니다. 3. 긍정적 정서는 우리의 사고-행위 레퍼토리를 확대하고 심리적 레퍼토리를 형성한다는 말은 긍정적 정서는 우리의 사고와 행동의 양식과 기능을 확대하고 다양한 성품 등과 같은 심리적 기능, 성향을 형성한다는 말입니다. 4. 질적으로 구분되는 두 국면(어떤 일이 벌어지는 장면) 고정 정신 기능이 사회적 현상으로서 개인 정신 외부에 존재하는 국면과 고등 정신 기능이 내면화된 국면을 말합니다. 5. 숨겨진 의제를 분명히 한다는 말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문화, 규범, 관행, 제도, 전통 등이 공통체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구축되어 왔는지를 분명히 밝힌다는 의미입니다. 6. 윤리적 기술과 윤리적 노하우는 동일 개념입니다. 7. 도덕적 삶에서 도덕적 정서의 역할을 중시하는 점, 도덕적 행동을 위해 훌륭한 성품, 즉 덕의 습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단, 배려 윤리는 사회적 덕목을 강조하는 반면, 덕 윤리는 개인적 덕목을 강조) 등이 공통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8. 프로이트에 의하면, 분리 불안을 일으키는 사랑의 상실과 권위자에 대한 처벌(‘권위자에 의한 처벌’을 의미하는 것으로 봐야겠지요. 표현이 부적절합니다.)은 모두 죄책감의 근원이 되는 양심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넓은 의미의 처벌에 해당합니다. ▒▒▒▒▒▒ [장다은 회원님의 글] ▒▒▒▒▒▒ 5-6월 교과교육론 1. 프로이트 교재15p. 초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이 도덕성 형성 과정의 본질이라 했는데, 그렇다면 초자아=도덕성이라고 봐도 되나요? 2. 콜버그 교재64p. 저는 콜버그에게 도덕 원리는 정의의란 원리이고, 정의의 원리는 각 도덕성 발달 단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또한, 콜버그의 6단계에서 도덕원리는 정의의 보편적 원리이며, 이때 정의의 원리는 평등한 인권과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의 원리라고 이해힜습니다. 제가 맞게 이해한것인가요? 3. 긍정심리학 교재 158p. 긍정적 정서의 역할 중에서 사고-행위 레퍼토리를 확대하고, 심리적 레퍼토리를 형성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요? 4. 구성주의 도덕교육론 교재185p.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인간 정신의 기능은 '질적으로 구분되는 두 국면을 거쳐 발달한다고' 되어있는데, 이때 질적으로 구분되는 두 국면이 ① 개인 정신 외부에 있는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발달함 ② 사람들 사이의 영역에서 형성된 정신 기능은 개인 내적 영역에 자리 잡 내면화 과정을 거쳐 개인의 정신 내부에 자리 잡음 이 두 가지가 맞나요? 5.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교재 245p.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의 기본 원리를 적용함에 있어서의 유의 사항에 '숨겨진 의제를 분명히 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못한 대안들을 정당화시켜 주기 때문에, 상대주의로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때, '숨겨진 의제를 분명히 하는 것'이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6. 나바에즈 교재 148p. 나바에즈에게 윤리적 노하우와 윤리적 기술이 같은 개념인가요? 다르다면, 윤리적 노하우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7. 나딩스 교재 111p.에 '배려 윤리는 덕윤리학과 중요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덕윤리학의 한 형태는 아니다.'라고 되어있는데, 이때, 배려윤리와 덕윤리학이 공유하고 있는 중요한 특성이 무엇인가요? 8. 호프만 4-5월 기출문제분석 교재 821p.에서 죄책감의 형성 과정에서 사랑의 상실과 권위자에 대한 처벌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했는데, 왜 그런것인가요? 죄책감을 형성하는데 '사랑의 상실'과 '권위자에 대한 처벌'이 어떻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

profile_image

김병찬의 댓글

김병찬 작성일 2022-08-23 08:50:45

질문 6에 대한 답변을 수정하였습니다.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