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아우구스티누스, 키케로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8월 24일 20시 53분
- 조회수
- 18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신에 대한 완전한 사랑이 최고의 덕이며, 모든 덕의 본질입니다.
2. 국가, 정치 체제, 정부 형태에 대한 구분과 그것에 대한 정의는 학자 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는 세 용어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정치 체제란 국가가 지닌 정치적 시스템(국체)으로서, 정치 권력이 배분되어 있는 구조화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정치 체제를 지칭할 때에는 보통 군주제, 민주제, 귀족제, 공화제와 같은 용어를 사용합니다. 때때로 정치 체제를 지칭하는 용어로 군주정, 민주정 등의 용어를 사용할 때가 있는데, 이는 군주정체, 민주정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읽으셔야 합니다. 정부는 정치 권력을 소유하고 행사하는 국가의 기관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정치 체제와 관련하여 정부는 정치 체제를 구성하는 정부입니다. 예를 들어 민주정부(민주정)이란 민주정체 하에 있는 정부를 의미합니다. 참고로 동일한 정치 체제를 가진 국가들이라 할지라도, 그들이 소유한 정부의 구조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장소정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아우구스티누스와 키케로를 공부하면서 궁금했던 점을 질문드립니다.
1. 아우구스티누스의 최고덕 관련해서, 저는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최고덕은 신에 대한 완전한 사랑으로 알고 있는데, 기출분석 강의에서 교수님께서 아우구스티누스의 모든 덕들의 본질은 사랑이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여기서 말씀하신 사랑이 엄밀한 의미에서 신에 대한 완전한 사랑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아니면 아퀴나스와 마찬가지로 아우구스티누스에게도 사랑은 의지의 심층부분이면서도 동시에 그 자체로 최고 덕인것일까요??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사랑과 신에 대한 완전한 사랑이 동의어로 쓰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 키케로의 혼합정체 관련해서, 저는 정부형태와 정체(국가체제?)를 비슷한 개념으로 알고 있었는데요, 정부형태와 정체가 엄밀히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열심히 찾아보았지만 오개념만 쌓일뿐 어렵네요..정체, 정부형태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나아가 공화정과 혼합정이 엄밀히 무슨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질문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