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맹자, 순자, 주자 질문

작성자
박민형
등록일
2022년 08월 30일 02시 31분
조회수
104
첨부파일
안녕하십니까 고생이 많으십니다! 강의를 수강중인 학생입니다. 강의를 듣고 책을 여러번 복습하면서 읽는데 어려움이나 찝찝함이 있는 어휘들이나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맹자> 1. 395p 첫 번째 인용문 ➀ "사지의 안위에 있어서는 '본성'이지만 '명'에 달려있으므로 '성'이라 이르지 않는다"의 내용에서 '본성'은 '소체'로서의 본성이므로 하늘에 달려있는 것은 맞지만, '대체'로서의 '성' ,즉 사덕으로서의 성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인가요? ➁ "사덕이 천도에 있어서 명이지만 본성에 있으므로 군자는 명이라 이르지 않는다"의 내용에서 '명'에 달려있다'는 것은 대체와 소체는 모두 하늘에 달려 있다는 것이고, 여기서 '본성'은 대체로서의 본성을 의미한다고 이해할 수는 있지만 왜 '명'이 아니라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추가로, 혹시나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403p. '확충' 인용문 "남을 해치지 않으려는 마음을 채우면 인을 이루 다 쓰지 못할 것이며" 에서 남을 채치지 않으려는 마음은 좋은 것인데 왜 인을 다 쓰지 못한다고 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순자> 3. 419p. 대청명하면 일체가 '유'에 귀속된다고 하는데 '유'가 무엇인가요? 4. 431p. "일음일양은 도의 본체가 시킨다"의 내용에서 도는 태극을 말하는 것이므로, 그냥 '도'라고 하면 되는데 굳이 '도의 본체'라고 하는 것인가요? '도'의 구성요소가 더 있는 것인가요? 5. 432p. '작위'한다는 것은 단순히 움직인다는 말인가요? 그러한 뜻이 사전에 나오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6.433p. 동양의 어휘라 사전적 체크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조작도 없다"에서 조작의 사전적 정의가 '꾸며낸다'의 뜻 밖에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그냥 움직이지 않는다 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7. 434p. 첫번 째 인용문 "이 기가 있지 않을 때에도 이미 이 성은 존재하며,"에서 '이 기'라는 어휘가 중의적입니다. ➀ 만약 '이 기'가 이와기로 해석한다면 이가 없는데 어떻게 '성'이 존재할 수 있나요? ➁ 만약 '이 기'가 이 '기'라고해도 '성'이란 처리가 개별자의 '기'에 있을 때 명명되는 것인데 어찌 존재할 수 있나 요? 8. 435p. 첫번 째 인용문 "천지의 사이에는 다만 동・정의 양단이 끊임없이 순환할 뿐, 그 밖의 다른 일은 없으니, 이것을 '역'이라 한다" 에서 '역'의 정의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9. 436p. 3번 째 인용문 "만과 일이 각기 바르면 대소에 정함이 있다"에서 '대소의 정함'은 무엇인가요? 10. '마음'은 '이'와 '기'로 이루어져 있다 하는데, 형태가 없는 마음의 '기'는 무엇인가요? 만약 '기'가 인간의 형기라면 마음은 구조상 기질지성과 구분되지 않는 것이 아닌가요? 11. 439p. 첫번 째 인용문 '반본궁원'이란 무엇인가요? 근본을 궁리한 성? 그렇게 해석하나요? 12. 441p. 두번 째 인용문 "대개 그 안에 중리가 혼연히 갖추어져 있음이 분명하므로"에서 '중리'란 무엇인가요? 13. 445p. 2번 째 인용문 '중절'의 정확한 뜻이 무엇인가요?(사전에 나오지 않습니다) 14. 446p. 첫번 째 인용문 "움직일 때는 사물이 번갈아 이르고 사려가 싹터서 칠정이 번갈아 작용하고 각기 주장하는 것이 있으니 화라 하는 것이다" 에서 첫 번째 부분이 '성'의 움직임을 말하는 것 같은데, '성'은 움직일 수 없지 않나요? 그리고 사물에 번갈아 이른다는 것은 '성발'을 말하는 것인가요? 15. 451p. 첫번 째 인용문 ➀ "미발지전은 찾아볼 수 없고, 이발지후는 안배를 용납하지 않는다"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➁ '명경수지'가 무엇인가요?(사전에 안나옵니다) 16. 453p. '존첨시'의 뜻이 무엇인가요?(보는 것을 높인다?? 사전에 나오지 않습니다) 17. 454p. 두 번째 인용문 "사람이 태어남에 진실로 능히 이물이 없을 수 없는데"에서 '이물'은 '물'의 '이' 즉, 물의 이치를 말하는 것인가요? 18. 459p. 3번 째 인용문 '주일의 경'은 무엇을 지칭하나요? 19. 462p. 인용문 마지막줄 "성분의 밖에서 작위하는 것은 아니다"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