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피터스의 도덕교육론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9월 13일 19시 55분
- 조회수
- 10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원리에 대한 민감성의 덕'은 행위의 동기가 되는 덕이 아니라 인위적인 덕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김예지 회원님의 글] ▒▒▒▒▒▒
강의영상을 시청하면서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도덕교사가 도덕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이 도덕규칙과 도덕원리, 합리적 열정, 그리고 덕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내용에서 마지막 덕 부분을 설명해주실 때 강의영상 속 자료에서 두번째 덕이 행위의 동기가 되는 덕(민감성의 덕)이라고 표현이 되어있었습니다. 동시에 교재를 살펴보면 민감성의 덕이라는 표현은 셋째 인위적인 덕 부분에서 표현이 되고 있어서 둘 다 같은 의미로 그러한 표현을 사용하는 건지 아니면 표현은 같지만 다른 의미를 지니는 말로 구분하면 되는 부분인지 질문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