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블라지 관련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09월 13일 20시 31분
조회수
32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도덕적 의지란 비도덕적인 유혹에 굴하지 않고 자신이 내린 도덕판단을 유지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내적인 도덕적 능력입니다. 이처럼 도덕적 의지는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되는 것입니다. 도덕적 의지는 블라지의 도덕적 자아 모델의 명시적 요소는 아닙니다. 하지만 강한 도덕적 책임감을 소유한다는 것은 곧 강한 도덕적 의지의 소유를 함축합니다. 2-1.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을 통해 블라지가 밝히고자 하였던 것 중 하나는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입니다. 그는 도덕적 인격의 형성 과정과 도덕적 정체성 형성 과정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블라지에 의하면, 도덕적 인격의 본질은 도덕적 의지입니다. 따라서 도덕적 인격 혹은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되었다는 말은 도덕적 의지가 형성되었다는 말과 같습니다. 그런데 도덕적 의지는 도덕적 이해에 근거해 이루어지는 반성 과정을 통해 형성됩니다. 그러므로 도덕적 인격 혹은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도덕적 이해가 선행해야 합니다. 2-2. 논의의 지평이 다르므로, 도덕적 자아 모델과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을 굳이 연결하여 이해하려 할 필요는 없습니다. 2-3. 동일한 개념입니다. 3. 네. 4. 도덕적 자아 모델이든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이든 간에 핵심은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입니다. 따라서 도덕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표는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이며, 교재의 도덕교육적 시사점의 내용은 도덕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주요 활동들입니다. ▒▒▒▒▒▒ [권가연 회원님의 글] ▒▒▒▒▒▒ 1. 블라지의 도덕적 자아모델에서 '도덕적 정체성으로부터 나오는 자기일관성의 욕구 혹은 내적 자기 일치의 욕구는 강한 도덕적 책임감(책임판단)과 도덕적 의지의 근원'이라고 다른 질문란에 답해주셨는데 여기서 [도덕적 의지]를 [도덕적 행위의 동기]와 동일하게 봐도 괜찮을지 궁금합니다. 만약 다르다면 도덕적 의지를 도덕적 자아모델의 구성요소 (도덕적 이해, 도덕적 정체성, 책임판단, 자기일관성, 동기화)중 어떤 것과 동일하게 봐야할지 궁금합니다. 2-1 블라지의 도덕적 자아모델과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모델에서, 도덕적 인격모델의 도덕적 정체성 앞에 도덕적 이해가 들어가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즉 도덕적 자아모델과 인격모델을 어떻게 연결지어야 할지 궁금합니다. 2-2.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모델은 도덕적 자아모델을 발전시킨것인지도 궁금합니다 2-3. 도덕적 자아모델의 도덕적 정체성과 도덕적 인격모델의 도덕적 정체성이 동일한 개념인지도 궁금합니다. 3. 블라지의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모델에서 도덕적 정체성과 도덕적 인격이 같다고 봐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4. 블라지의 도덕적 자아모델의 교사의 역할과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모델의 교사의 역할은 차이없이 똑같이 적용하면 될까요? 즉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을 위한 바람직한 도덕교사의 역할과 도덕적 의지의 형성을 위한 인성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차이를 두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7주차 강의자료 블라지 문제 2. 4번 문제를 풀다 생긴 의문점 입니다) 항상 좋은 강의 해주시고 학업적인 고민 덜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