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기타]  호프만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유진
등록일
2022년 09월 18일 12시 41분
조회수
135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호프만의 공감적 고통, 동정적 고통,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 개념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공감적 고통이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서, 동정적 고통과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은 공감적 고통이 변형된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는데요, 이 세 가지 개념의 관계가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1. 공감적 고통, 동정적 고통,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은 선형적인 관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인가요? 아니면 공감적 고통 -> 동정적 고통 / 공감적 고통 ->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으로 나누어서 파악해야 하나요? 워터파크에서 부모를 잃어버리고 울고 있는 아이에 대한 예시로 제 나름대로 생각을 해보았는데, 1) 부모를 잃어버리고 울고 있는 아이를 보며 나에게도 고통이 생김 -> 공감적 고통 2) 아이를 보면서 연민감이 발생 -> 동정적 고통 의 상황이라면, 동정적 고통이 친사회적인 도덕적 행동을 유발하는 강한 도덕적 동기가 되기 때문에 아이를 도와주는 행위를 하도록 만든다고 생각이 들어서, 동정적 고통을 느끼게 된다면 일반적으로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을 느끼는 상황까지 가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보았을 땐, 공감적 고통, 동정적 고통,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이라는 세 가지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동정적 고통과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이 친사회적 행위의 동기로 작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러한 동기는 필연적인 것인가요? 3. 동정적 고통으로 인해 연민의 감정을 느껴 도덕적 행위의 동기를 갖게 되는 것과 그 상황에서 도덕적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에는 필연적인 관련은 없을까요? 동기를 갖는 것과 행위를 하는 것에 대해 구분하여 생각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4. 만약 동정적 고통으로 인해 연민의 감정을 느껴 도덕적 행위의 동기를 갖게 되었는데, 이러한 동기가 행위를 하는 것과 필연적인 관계가 없다면, (예를 들어 워터파크에서 아이를 도와주고 싶었지만, 셔틀 버스를 타러가야 해서 시간이 없어서 도와줄 수가 없었던 상황) 타인을 돕는 행위를 하지 않은 이후에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을 갖게 될 수 있는 것인가요? 동정적 고통을 느꼈지만, 행동으로 옳기지 않았을 때만이 공감에 기반을 둔 죄책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