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페팃의 공화주의 관련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9월 20일 20시 50분
- 조회수
- 141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페팃의 비지배 자유는 타인의 의지와 권력에 예속되지 않고 자신의 삶의 방식을 스스로 선택하고 실현해 나가는 자유라는 의미에서 자율을 본질로 하는 적극적 자유와 공통점이 있습니다.
2. 비지배 자유는 타인의 의지와 권력에의 예속이 부재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의 자유의 실현 조건은 공정한 법의 지배, 요컨대 공정한 법의 간섭입니다. 법의 간섭에 의해 개인의 행위가 규정되는 상황은 완전한 의미에서의 자율이 실현되는 상황이 아닙니다. 따라서 지배가 없으면서도 자율이 없는 상황, 달리 말해서 자율 없는 비지배는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의미 있는 형태의 자율이란 자신의 목적을 스스로 설정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형태의 자율입니다. 그런데 타인의 의지와 권력에 예속되어 있다면, 이러한 형태의 자율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비지배 없이는 어떤 경우에도 의미 있는 형태의 자율은 불가능합니다.
▒▒▒▒▒▒ [김효정 회원님의 글] ▒▒▒▒▒▒
40주제로 이해하는 윤리와 사상 개념 사전 - 공화주의 편에서
1번 2번 내용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ㅜㅜ 설명부탁드립니다.
1. 페팃은 자율을 방해하는 지배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적극적 자유와 공통점을 갖는다.
2. 견제하는 힘을 가진 시민을 대신하는 대의 정치처럼 자율 없는 비지배가 분명히 있을 수 있고 무엇보다 비지배 없이는 어떤 경우에도 의미 있는 형태의 자율이 사실상 불가능 하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