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이이, 정약용, 왕수인 질문

작성자
박민형
등록일
2022년 09월 27일 14시 53분
조회수
136
첨부파일
이어서 질문드리겠습니다! @ 이이 @ 1. 482p. '기발이승일도설' '이'가 발하면 '운동성'이 성립되기 때문에 '불변'에 오류가 생기는 것은 알겠지만, 그 사실이 '이'의 세계와 '기'의 세계를 만드는 이유가 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 더 나아가 왜 '이'와 '기'의 세계가 만들어진다고 이황을 비판하는 것입니까? 2. 482p. 3번 째 인용문 ➀ "동정은 타는 바의 기틀이다"의 말에는 기발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 같은데 '움직임'이라는 속성이 있어야 타는 행위 가 성립될 수 있으므로 '움직임'이 잇는 '기'만이 타는 행위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➁ "사람이 도를 넓힐 수 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힐 수 있는 것이 아니다"의 맹자의 말이 '기발'과 어떻게 연결된 다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3. 483p. 2번 째 인용문 "음이 고요하여 양이 움직이는 것은 그 기가 스스로 그러한 것인데.."라며 '기발'은 누가 시키지 않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후에 그것의 까닭은 '이'라고 하는데, 이는 '이'가 '기발'의 까닭 즉, 원인이 된다는 것 아닌가요? 4. 488p. 인용문 마지막 쯔음 '다섯가지 본성'이란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가요? 5. 490p. '인심도심설' '의의 상량계교 능력'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해석은 어떻게 되나요?) 6. 496p. 첫 번째 인용문 ➀ '실심'과 '실리'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➁ "실리로서 화육하는 공을 이루고, 사람은 실심으로서 감통하는 효험을 이룩하는 것이니.."의 해석이 어렵습니다. ➂ 이 인용문에서 '용'이 지칭하는 것은 무엇인가요?(무엇을 말하나요?) @왕수인@ 1. 501p. '사구종지'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2. 502p. 두 번째 인용문 ➀ '표덕'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➁ 성의 형체는 하늘, 주재는 제, 유행은 명이라는 것은 어디에서 나온 구분이며, 어떤 의미인가요? 3. 505p. 첫 번째 인용문(사전상의 의미는 조금 이상하여 질문드립니다../ 꼼꼼하게 읽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➀ "생각은 양지의 발용이다"에서 '발용'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➁ "간이하다", '사정'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4. 단어의 의미가 궁금합니다(3번과 마찬가지입니다.) ➀ 506p. '제활' ➁ 509p.'온청정성', '의질' ➂ 514p '공리' ➃ '지도', '종지' @ 정약용 @ 1. 519p. 기의 '조리'/ '조리'가 어떤 것인가요? 해석이 나오지 않습니다(모인 것? 인가요?) 2. 520p. 첫 번째 인용 '태허'의 의미는 무엇인가요?(사전에서는 '하늘' 혹은 '기의 본체'라고 나옵니다) 3. 520p. 두 번째 인용 '체질'의 의미는 무엇인가요?(주재력을 말하는 것인가요?) 4. 521p. 인용문 ➀ '공용'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공을 들인 보람이나 효과'로 나오는데 귀신이랑 무슨 상관인가요? ➁ "정심 = 정신" 이라고 하는데 그럼 '정심'과 '수신'이 같다는 것인가요? ➂ 오장지심・소발지심・영명지심의 포함관계는 없나요? 그냥 따라 따로 존재하는 것인가요? 5. 524p. 인용문 '기질지성'과 '천명지성'의 차이가 기호하는 대상의 차이라 하는데 그렇다면 '형구의 기호'와 '기질지성'을 같게 보고있는 것인가요? 6. 527p. '법려'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7. 530p. 주자의 '평상'과 다산의 '항산' 즉 '용'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애매해서 확실한 말을 듣고 싶습니다 ㅜㅜ)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