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이황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09월 28일 20시 53분
조회수
32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모순이 아닙니다. 상제를 천명(천리, 태극, 무극)을 해석하는 것이 주자 성리학의 기본 입장입니다. 2. 한량이란 ‘한정된 분량’을 의미합니다. 기는 시공간의 특수성에 따라 한정되어 특정한 형태를 지니기 때문에, 기는 한정된 분량이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3. 이의 작용을 방해하는 요인이 있다는 말입니다. 4. 인간을 비롯하여 모든 존재자와 사태 이와 기의 결합물입니다. 이와 기의 관계에서 이는 기를 주재하여 이의 속성에 부합하는 존재자와 사태를 형성하는 능동적인 작용력을 지닙니다. 5. 대거란 두 요소를 구분하여 마주 보게 한다는 말입니다. 6. 기발입니다. 7. 마음은 이와 기의 결합물입니다. 따라서 이(도의, 성명)를 근원으로 하는 도심에도 형기가 없지 않고, 형기를 근원으로 하는 인심에도 이가 없지 않습니다. 그래서 도심은 인심 사이에서 섞여 나오는 것이라 한 것입니다. 8. ➀ 네. 사단은 도심에 속하는 것이고 인심은 칠정에 속하는 것입니다. ➁, ○3.사단은 성이 발하여 생겨나는 것으로서, 도심에 존재하는 도덕적 단서입니다. 9. ➀ 말씀하시는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문장입니다. ○2 정자의 말은 이해해 줄 수 있다는 의미의 문장입니다. 10. 기미: 일이 되어 가는 것 만화의 지도리: 모든 변화가 생겨나는 지점이라는 의미입니다. . 11. 비벽의 범함: 치우침을 범함 12. ‘미’의 한자가 잘못되었습니다. 黴가 아니라 微가 맞습니다. 현은 드러난 것, 즉 용(用)을 의미하고, 미는 숨어 있는 것, 즉 체(體)를 의미합니다. ▒▒▒▒▒▒ [박민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고생이많으십니다. 이번에는 이황 질문을 가져왔습니다! 단어와 관련된 질문은 사전을 충분히 참고했지만 해결하지 못한 것을 질문드리는 것입니다! 1. 466p. 2번째 인용문 '상제'가 만물의 생성과 운용을 주재한다고 주장하고, "천명이 유행하여 따로 그렇게 시키는 것이 있다고 말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모순 아닌가요? 2. 466p. "기는 한량이 있다"에서 '한량'은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가요? 3. 467p. 2번째 인용문 "이가 약한 것이 아니라 세가 그러하기 때문입니다"에서 "세가 그러하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요? 4. 이황은 본연지성이 능동적인 힘을 가지고 개인을 특정한 모습으로 있게 한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태극이 분수된 '이'인 본연지성은 보편적인 것이고, 순수지선한 것이 아닌가요? 어떻게 '특정 개인의 모습'을 형성하나요?? 5. 469p. 인용문 '대거'하다는 말은 무슨 말인가요?(사전에는 북한말만 나옵니다..) 6. 471p. 인용문 "사단은 역시 기이다"의 기대승의 말은 "사단 = 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기발'을 뜻하는 것인가요? 7. 474p. 인용문 "도심은 인심 사이에서 섞여 나오는 것이니" 라고 하는데 둘은 근원이 다른데 왜 인심사이에서 도심이 나온다고 하나요? 8. 474p. ➀ 도심은 사단을 포함하고, 인심은 칠정을 포함하는 것인가요? ➁ 그렇다면 도심은 마음이 도의를 대상으로 한 것, 즉 도의를 지각하는 마음이고 여기서 사단이 나오는 것인가요? ➂ 그리고 '도의'를 지각하는 마음과 사단이 드러나는 마음은 거의 동일하다고 했는데 '도의'를 지각하는 마음에서 사단이 드러나는 것 아닌가요? 9. 475p. 인용문 ➀ "희노애락의 미발을 중이라 하고" 라 하는데 미발 상태에서 '본성이 잘 보존된 상태'가 중 아닌가요? ➁ "중이 동하여 칠정이 나온다"라 하는데 '중'은 이상적인 상태이므로 '중'이 동하면 칭정이 아닌 '사단'이 나와야하는 것 아닌가요? 10. 476p. 인용문 2,3문단 ➀ '만화의 지도리', '기미'의 뜻은 무엇인가요? -"성이 발하여 정이 되는 그 경계는 바로 마음의 기미요, 만화의 지도리로서 선과 악이 여기에서 부터 갈라집니다"- ➁ "체를 보존하여 사물에 응하여 작용하는 심법"/ "기미를 바르게 하여 '용'에 통달하게 하겠는가?" 에서 '체'와 '용'이 지칭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체는 성인것 같은데 '용'은 '정'인가요? 뭔가 이상합니다) 11. 478p. 인용문 "비벽의 범함이 없어진다는 것이...'에서 '비벽의 범함'이 무엇인가요? 12. 479p. 인용문 "'현'과 '미'의 차이가 없음"에서 '현'과 '미'가 무엇인가요? (현은 나타남인것 같고 미는 곰팡이라는 뜻만 나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