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혜원
등록일
2022년 10월 24일 11시 34분
조회수
113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1. 콜버그의 4기능모형 [도덕판단->의무판단->책임판단->도덕적행위] 에서 도덕판단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도덕판단과 의무판단은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 블라지가 “도덕판단이 도덕적 정체성에 근거한 책임판단을 통해 여과되어 자기 일관성을 향한 경향성에 의해 행동으로 추진된다면, 도덕적 행동을 더욱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다.”라고 했는데, 블라지의 입장에서 도덕적 이해를 도덕판단으로 봐도 되나요? 3. 사르트르 원문 “거짓말을 한다는 것 사실 자체가 곧 거짓말에 부여된 그 어떤 보편적인 가치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게 무슨 말인지 궁금합니다. 4. 모의고사 5회 A형 11번 레스트의 도덕적 민감성 개발 위한 도덕교육방법으로 역할놀이(입장채택 관련), 귀납적 훈육(호프만 공감 관련) 제시해도 될까요? 5. 모의고사 5회 A형 9번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피노자 모두 최고선=행복이라, ㄴ과 구분되는 을의 주장으로 지복직관을 서술했습니다. (갑의 행복은 철학적 지혜에 따른 관조적 활동이고, 이와 구분되는 을의 주장은 지복직관) 아래 글에 교수님께서 최고선(=행복=신에 대한 인식)=최고덕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최고선을 물으면 행복, 최고덕을 물으면 신에 대한 인식으로 서술하면 될까요? 개념들이 모두 연결되어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