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불교 질문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10월 29일 13시 24분
- 조회수
- 194
- 첨부파일
-
개인 사정으로 답변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일심이문의 관계, 삼제의 관계, 육상의 관계, 사종법계의 관계를 설명할 때에는 원융무애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불교 교리의 화쟁을 말할 때에는 원융회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말라식과 6식은 심식인 아뢰야식의 전변하여 생겨난 것입니다.
3. 내재된 더러움이 제거되어 완전히 깨끗해진 아뢰야식의 상태를 일러 아마라식이라 하였는데, 이후 아마라식은 팔식인 아뢰야식과 구분되어 구식으로 정립되고, 여래장, 불성, 자성청정심 개념의 근원이 됩니다.
▒▒▒▒▒▒ [이은아 회원님의 글] ▒▒▒▒▒▒
1. 원융무애와 원융회통 단어를 구분하여 써야하는 상황이 헷갈립니다.
원융무애는 일심이문, 사종법계설, 육상원융에 쓰고
원융회통은 법계연기설, 삼제원융에 쓰면될까요?
2. 아뢰야식=일심 이면
팔식에 속하는 말라식, 6식도 일심과 동일하다고 보면될까요?
3. 아뢰야식 = 일심
일심지원 = 아마라식
이 관계가 헷갈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