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10월 29일 13시 50분
- 조회수
- 35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도덕판단이란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올바른 행위에 대한 판단입니다. 예를 들어 하인츠 딜레마 상황에서 “하인츠는 약을 훔쳐서는 안 된다.”가 도덕판단입니다. 이 판단은 그 안에 도덕규칙 혹은 도덕적 의무에 대한 판단을 포함하는데, 의무판단이란 도덕판단에 내재하는 도덕원리에 따른 도덕 규칙에 대한 판단입니다.
2. 네.
3. 사르트르 원문 “거짓말을 한다는 것 사실 자체가 곧 거짓말에 부여된 그 어떤 보편적인 가치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게 무슨 말인지 궁금합니다.: 출처를 알려 주시면 확인 후 답변드리겠습니다.
4. 네. 중요한 것은 도덕적 민감성의 성격입니다.
5. ‘지복직관’은 아퀴나스의 전문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 용어를 스피노자 문제에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강의 시간에 말씀드렸듯이 스피노자의 최고선이 무엇인지 묻는 문제가 나온다면, 그것도 원문을 제시문으로 하여 묻는다면, ‘신에 대한 인식’을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리고 스피노자의 최고덕은 ‘신을 인식하는 것’ 혹은 ‘제3종의 인식에 따라서 사물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 [김혜원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1. 콜버그의 4기능모형 [도덕판단->의무판단->책임판단->도덕적행위] 에서 도덕판단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도덕판단과 의무판단은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 블라지가 “도덕판단이 도덕적 정체성에 근거한 책임판단을 통해 여과되어 자기 일관성을 향한 경향성에 의해 행동으로 추진된다면, 도덕적 행동을 더욱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다.”라고 했는데, 블라지의 입장에서 도덕적 이해를 도덕판단으로 봐도 되나요?
3. 사르트르 원문 “거짓말을 한다는 것 사실 자체가 곧 거짓말에 부여된 그 어떤 보편적인 가치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게 무슨 말인지 궁금합니다.
4. 모의고사 5회 A형 11번
레스트의 도덕적 민감성 개발 위한 도덕교육방법으로 역할놀이(입장채택 관련), 귀납적 훈육(호프만 공감 관련) 제시해도 될까요?
5. 모의고사 5회 A형 9번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피노자 모두 최고선=행복이라, ㄴ과 구분되는 을의 주장으로 지복직관을 서술했습니다. (갑의 행복은 철학적 지혜에 따른 관조적 활동이고, 이와 구분되는 을의 주장은 지복직관)
아래 글에 교수님께서 최고선(=행복=신에 대한 인식)=최고덕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최고선을 물으면 행복, 최고덕을 물으면 신에 대한 인식으로 서술하면 될까요? 개념들이 모두 연결되어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