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교과교육론과 서양, 동양 윤리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박수영
- 등록일
- 2022년 11월 03일 00시 35분
- 조회수
- 108
- 첨부파일
-
1. 인격교육론은 도덕적 인격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여러 덕목 중 몇 가지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이론이라고 알고 있고, 덕 윤리학은 행위자 중심의 윤리학으로, 행위가 아닌, 행위자의 품성 에 초점이 맞춰
진 이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둘은 거의 같은 이론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기출에서는 콜버그나 나딩스가
비판한 이론을 인격교육론, 근대 윤리학자들, 즉 공리주의나 칸트가 비판한 이론이 덕 윤리학으로 비교되어 있습니다.
인격교육론과 덕 윤리학을 완전히 다른 이론으로 보고, 콜버그와 나딩스 등의 학자가 비판하면 인격교육론, 공리주의
나 칸트 등의 학자가 비판하면 덕 윤리학으로 봐도 되나요?
2. 기출분석집 플라톤 부분 2012년 문제 해설을 보면 '정의를 그 자체로도 좋고, 그 결과도 좋은 것으로 본다.'라고 적
어주셨는데, '정의는 그 자체로도 좋은 것이지만, 그것에 의해 생기는 결과 때문에도 좋은 것이다.'라고 해석해도 될까
요??
3. 동양 책 p.441을 보면 '성과 정의 이러한 관계를 주희는 "성은 체요, 정은 용이다."라고 표현한다.'라고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주희의 철학(진래)'라는 책 p.265를 보면 '도심은 성이 아니며 도심과 인심의 관계가 체용의 관계는 아니다.'라고 적혀있는데, 전자가 맞는건가요, 후자가 맞는건가요?? 단지 진래의 생각이기 때문에 성정체용의 관계가 맞는 건가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