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교과교육론과 서양, 동양 윤리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11월 08일 21시 15분
- 조회수
- 189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인격교육론은 교육론의 범주에 속하는 이론이고, 덕 윤리학은 윤리학의 한 종류이므로, 둘을 같은 이론으로 보시면 안 됩니다. 덕 윤리학은 인격교육론의 확립에 영향을 준 윤리학입니다.
콜버그의 전기 도덕교육론은 칸트의 윤리학에 토대를 두고 있고, 나딩스의 배려교육론은 도덕의 기초에 관한 흄의 윤리학적 관점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두 학자 모두 덕 윤리학을 바탕으로 삼아 확립된 인격교육론에 반대합니다.
2. 네. 그렇게 해석하셔도 됩니다.
3. 성과 정의 관계는 성정체용, 성발위정입니다. 그런데 도심과 인심은 성도 아니고 정도 아닙니다. 따라서 성과 정의 관계를 규정하는 방식으로 도심과 인심의 관계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 [박수영 회원님의 글] ▒▒▒▒▒▒
1. 인격교육론은 도덕적 인격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여러 덕목 중 몇 가지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이론이라고 알고 있고, 덕 윤리학은 행위자 중심의 윤리학으로, 행위가 아닌, 행위자의 품성 에 초점이 맞춰
진 이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둘은 거의 같은 이론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기출에서는 콜버그나 나딩스가
비판한 이론을 인격교육론, 근대 윤리학자들, 즉 공리주의나 칸트가 비판한 이론이 덕 윤리학으로 비교되어 있습니다.
인격교육론과 덕 윤리학을 완전히 다른 이론으로 보고, 콜버그와 나딩스 등의 학자가 비판하면 인격교육론, 공리주의
나 칸트 등의 학자가 비판하면 덕 윤리학으로 봐도 되나요?
2. 기출분석집 플라톤 부분 2012년 문제 해설을 보면 '정의를 그 자체로도 좋고, 그 결과도 좋은 것으로 본다.'라고 적
어주셨는데, '정의는 그 자체로도 좋은 것이지만, 그것에 의해 생기는 결과 때문에도 좋은 것이다.'라고 해석해도 될까
요??
3. 동양 책 p.441을 보면 '성과 정의 이러한 관계를 주희는 "성은 체요, 정은 용이다."라고 표현한다.'라고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주희의 철학(진래)'라는 책 p.265를 보면 '도심은 성이 아니며 도심과 인심의 관계가 체용의 관계는 아니다.'라고 적혀있는데, 전자가 맞는건가요, 후자가 맞는건가요?? 단지 진래의 생각이기 때문에 성정체용의 관계가 맞는 건가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