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양명의 성의에 대한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11월 08일 21시 51분
조회수
18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의념이 생겨나면 양지는 의념의 선악을 판단하여 우리에게 알려 줍니다. 이때 양지의 판단에 따라 선한 의념이면 그것을 참으로 좋아하여 행하고, 악한 의념이면 미워하여 제거하는 것이 성의입니다. 이것이 ‘양지를 온전히 실현하여 의념으로 하여금 선을 좋아하게 하고 악을 싫어하게 하는 공부’란 말의 의미입니다. 이처럼 성의는 양지의 판단이라는 앎의 측면과 좋아하여 실현하고 미워하여 제거하는 행함이 합일되어 있는 공부이므로, 지행합일의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습니다. 2. 격물, 치지, 성의는 그 본질이 동일한 하나의 공부이지만 정의는 다릅니다. 정의를 보시고 구분하시면 됩니다. ▒▒▒▒▒▒ [덕환 회원님의 글] ▒▒▒▒▒▒ 모의고사 7회 6번 양명의 성의를 설명하실 때 성의는 의가 선이면 행하고, 악이면 제거한다 라고 하시면서 지행합일의 뜻이다 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답안지에 보면 성의는 양지를 온전히 실현하여 의념으로 하여금 선을 좋아하게 하고 악을 싫어하게 하는 공부이다. 라고 적혀 있는데 1. 양지의 실현으로 좋고, 싫음이 행과 제거를 뜻하는 말과 동일하게 쓰이는 건가요? 2. 성의의 공부가 격물치지라면 격물치지와 성의를 어떻게 구분 해야 되는 건가요? 저는 격물이라 적어서 틀렸습니다 ㅜㅜ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