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길리건 나딩스 차이 모의고사 7회 전공A 9번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11월 09일 19시 51분
조회수
41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나딩스는 길리건의 배려 윤리를 토대로 그것을 확장하여 자신의 배려 윤리와 배려도덕교육론을 확립한 학자입니다. 따라서 길리건의 이론과 그것에 기초를 두고 확립된 나딩스의 이론을 각각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나딩스는 칸트의 윤리학을 비롯하여 서양의 전통적인 남성중심적 윤리학을 체계적으로 비판한 학자입니다. 제시문에 그와 같은 비판 내용이 등장한다면, 그 글은 길리건이 아니라 나딩스의 글입니다. ▒▒▒▒▒▒ [최정윤 회원님의 글] ▒▒▒▒▒▒ 선생님, 안녕하세요. 늘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문제풀이를 할 때 길리건과 나딩스의 구분이 어려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비폭력, 따뜻한 배려, 다른 목소리, 도덕적 추론 발달 단계 >> 길리건 자연적 배려와 윤리적 배려, 전념과 동기적 전치, 배려의 동심원과 사슬, 윤리적 자아와 이상, 도덕교육 방법 >> 나딩스 이런 식으로 개념어를 통해 주로 구분을 했는데요. 이번 모의고사 7회차 전공A 9번 문제의 제시문에서 남성의 경험과 여성의 경험을 언급하는 것을 보고 <다른 목소리로>의 저자인 길리건의 글이라고 생각했는데, 나딩스의 글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1.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의 차이점을 알 수 있을까요? 2. 해당 제시문에서 나딩스임을 알 수 있는 증거가 있을까요? 2-1. 첫 줄에 수용성, 관계성, 감응성을 보고, 피배려자의 반응인 수용, 인정, 반응이 떠올랐는데 혹시 이를 나딩스 이론의 특징으로 생각해도 괜찮을까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