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공화주의와 자유주의, 메타윤리학, 정치적 자유주의, 샌델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11월 15일 11시 50분
조회수
25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공화주의 정치 이론은 자치를 자유의 본질로 보는 반면, 절차적 공화정의 자유주의는 자치를 자유의 본질로 보지 않습니다. 2. “공화주의 입장에서 정치적 소속감에 대한 자유주의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질문이 모호합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질문해서 주시면 읽고 답변드리겠습니다. 3. 소견의 불일치는 참인 사실이 무엇인지에 대해 합의를 봄으로써 해결됩니다. 4. 판단 대상에 대하여 우리가 인식하는 그것의 사실적 성질 또는 관계가 서술적 의미를 구성합니다. 5. 다양한 교리를 지닌 민주 사회의 시민들이 공공의 관점에서 정당하다 혹은 정의롭다고 판단하는 성격이 공적 정당성입니다. 6. 네. 7. ‘나와 공동체를 근원적인 의미에서’라는 말은 ‘공동체가 나의 자아 정체성의 근원이라는 의미에서’라는 말입니다. ▒▒▒▒▒▒ [이은아 회원님의 글] ▒▒▒▒▒▒ 1. 공화주의 정치 이론과 절차적 공화정의 자유주의는 자유와 자치의 관계에 대해서 대조적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대조적인가요? 2. 공화주의 입장에서 정치적 소속감에 대한 자유주의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3. 스티븐슨의 절충적 정서주의에서 소견의 불일치는 해결방법이 무엇인가요? 4. 스티븐슨의 정충적 정서주의에서 제2형의 분석 중 서술적 의미가 이해가 안돼요 5. 롤스 정치적 자유주의에서 공적 정당성의 뜻은 무엇인가요 ? 6. 샌델이 롤스의 분배 정의론을 비판할 때, 롤스는 인간관을 '이는 개인이 가지는 구체적 재능은 개인에게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우연적 속성에 불과한 것으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 속성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 라고 말하는데 샌델은 그럼 '개인이 가지는 구체적 재능은 개인에게 본질적이고 우연적 속성이 아니고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이다'라고 보나요? 7. 개인의 자아와 공동체를 근원적인 의미 가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