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11월 22일 09시 40분
- 조회수
- 11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품성상태’와 ‘품성의 탁월성’이라는 두 개념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탁월성이란 어떤 기능 혹은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내적인 능력 혹은 힘입니다.
품성의 탁월성은 욕구하는 부분의 탁월성으로서, 욕구하는 부분의 일인 감정과 행동의 선택과 관련하여 그것을 잘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탁월성입니다.
감정과 행동을 잘 선택한다는 것은 생겨난 감정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취한다는 것입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모자람과 지나침을 피하고 중간을 선택하는 것은 잘 선택하는 것이고, 품성의 탁월성은 이를 잘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탁월성입니다.
그것으로 인해 우리가 우리의 영혼 안에서 생겨나는 감정들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취하거나 나쁜 태도를 취하게 되는 그런 것을 품성상태라 합니다.
따라서 품성의 탁월성은 품성상태의 일종입니다.
▒▒▒▒▒▒ [고경호 회원님의 글] ▒▒▒▒▒▒
품성의 탁월성이 품성상태인 이유가 명확하게 정리가 잘 안 됩니다. 영혼의 세 가지 기능인 감정, 능력, 품성상태 중 왜 품성상태인 것임가요? 고전과 윤리에도 이부분을 다루던데 명확히 이해가 가지 않네요.
늘 감사합니다 교수님.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