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동양 철학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2월 22일 18시 20분
- 조회수
- 28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이황
1. 네. 칠정은 기질지성이 발한 것으로 봅니다.
왕수인
1. 네.
2. 제시된 인용문에서 양지는 천리를 의미합니다. 심체는 천리이고 양지이므로, 양지는 천리입니다. 이 천리는 우리의 마음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본래 마음이 천리, 즉 천지만물의 이치인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의 양지, 달리 말해서 사람의 본 마음인 천리가 바로 풀과 나무와 기와나 돌의 양지, 즉 그것들의 이치인 것입니다.
▒▒▒▒▒▒ [김지민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번에 진도 나가신 동양철학 부분 관련해서 질문드릴게 있어서 글 남깁니다! :)
- 이황 질문 -
1. 이황에 의하면 사단은 이발기수해서 나온 정이고, 칠정은 기발이승해서 나온 정인데, 그렇다면 이황은 주희와 달리 칠정은 본연지성(이)에서 발한 것이 아니라고 본 것[‘성발위정’의 정은 오직 사단뿐이라고 본 것]이 맞나요?
- 왕수인 질문 -
1. 교재를 보니, 왕수인에 의하면 기일원론적 관점에서, 성(본성)은 기이고, 또 한편으로 심체(=천리)이기도 한데 그러면, 왕수인은 ‘성(본성) = 기 = 심체 = 천리’ 이렇게 본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2. 왕수인 p.507 교재 두 번째 인용문 두 번째 단락에 있는 ‘사람의 양지란 바로 풀과 나무와 기와나 돌의 양지와 같은 것이다.’ 이 문구의 표현이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아 여쭤봅니다! 왕수인이 자연물과 동물에도 양지(심체)가 있다고 보지는 않았을 것 같은데, 사람의 양지가 없으면 이런 자연물도 존재할 수 없다는 뜻일까요?
질문이 조금 많은데,
천천히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항상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