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왕수인, 주희 질문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2월 25일 16시 31분
- 조회수
- 308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성(性)은 본성을 말합니다. 주희가 성을 마음에 내재해 있는 마음의 본체로 본 반면, 왕수인은 심체(心體), 본래 마음이 그 자체 성(性)이라고 주장합니다. 성(誠)은 천리(天理) 혹은 천도(天道)의 의미를 지닌 용어입니다. 왕수인에게 있어서 심체는 곧 천리이므로, 그것은 또한 성(誠)인 것입니다.
2. 불선함의 존재 근원은 기질입니다. 사심물욕은 기질로부터 사심물욕이 생겨나며, 마음이 사심물욕을 따름으로써 불선함이 생겨나게 됩니다. 따라서 인간의 불선함의 원인은 ‘기질을 근원으로 하여 생겨난 사심물욕’이라 하겠습니다.
3. 사물을 대상으로 한 마음의 작용을 통해 현재 마음에 있는 다양한 정신적 현상을 사려라 합니다.
▒▒▒▒▒▒ [김윤지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왕수인, 주희 공부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교재 501페이지에 심체는 성이다가 있고, 503페이지에도 심체는 성이다가 있습니다
한자가 다른데, 다른 의미의 성인가요?
503페이지에 있는 성은 주자가 말하던 마음의 체인 본연지성을 의미하는 건가 싶은데
501페이지의 성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2. 주희에서 기질은 기의 품질이 맞나요?
기질의 다름이 악의 원인이라고 했는데,
뒤에 보면 사심물욕이 불선의 원인이라고 나옵니다,
주희가 말한 불선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3. 미발이발설에서 사려라는 것이 무엇인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