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정치철학 및 실존주의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3월 14일 15시 48분
조회수
208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신아테네 공화주의와 신로마 공화주의 사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공화국에서 시민의 자유의 본질과 그것의 실현 조건에 대한 관점입니다. 신아테네 공화주의는 자치를, 신로마 공화주의는 비지배를 자유의 본질로 보며, 자유의 실현 조건으로 전자는 시민의 덕성을, 후자는 공정한 법의 지배를 강조합니다. 2. 야스퍼스의 현존재는 하이데거가 말한 세인-자기와 그 성격이 거의 동일합니다. 죽음을 현존재가 더 이상 현존재일 수 없는 극단적인 가능성으로 정의하든 혹은 한계상황으로 규정하든 간에, 두 사상가가 죽음을 실존적 삶의 회복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계기로 보았다는 점에서 두 사상가 사이에 공통점이 존재합니다. ▒▒▒▒▒▒ [박진성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윌비스에서 수강 중인 박진성입니다. 공부하다 궁금한 게 생겨 문의드립니다. 아리스토텔레스를 시원으로 두는 신아테네 공화주의와 스토아학파를 시원으로 두는 신로마 공화주의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나요? 두 번째로, 하이데거의 현존재는 중립적인(본래적이거나 비본래적일 가 능성이 있다는 측면에서) 개념으로 보이는데 야스퍼스의 현존재는 주체 성 각자성 단독성을 결여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개념으로 보입니다. (하이데거의 세인ㅡ자기가 야스퍼스에게 현존재인지?) 이러한 이해가 맞을까요? 또한, 죽음에 대해서 하이데거는 현존재가 더 이상 현존재일 수 없는 극단적인 가능성이라고 하였고, 야스퍼스도 전멸이 아닌 한계상 황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둘이 상통한다고 봐도 좋을까요? 하이데거와 야스퍼스의 현존재, 죽음 개념이 비교가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