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교수님 주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3월 21일 22시 13분
조회수
28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제기하신 질문과 관련한 주희의 명확한 입장이 존재하지 않고, 그로 인해 조선에서 사단칠정 논쟁이 발발하였다고 강의 시간에 말씀드렸습니다. 사단과 칠정의 근원 문제와 관련해서는 주희의 이론보다는 조선 유학자들의 입장(특히 이황과 이이의 입장)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2. 원칙적으로 미발의 성은 본연지성입니다. 3. 주희는 도심과 인심을 이와 기에 관련시켜 설명했을 뿐, 그것들과 사단칠정의 관계에 대해서는 주장한 바가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질문은 적절해 보이지 않습니다. ▒▒▒▒▒▒ [안병진 회원님의 글] ▒▒▒▒▒▒ 1. 본연지성이 외부 사물에 감흥해서 나오는 감정이 사단이잖아요. 그럼 기질지성은 기질과 본연지성을 합쳐서 부르는 말인데 기질지성에서 나오는 감정은 칠정만인가여? 아니면 사단과 칠정 둘 다 인가여? (수능 수험서 같은 경우에는 주희단원에서 본연지성에서 나오는 감정은 사단, 기질지성에서 나오는 감정은 칠정 이렇게 되어있는데 기질지성도 기질과 본연지성을 합친 말인데 당연히 사단도 발할수 있는게 아닌가 궁금해서요...) 2. 미발이발설 할때 성의 기준은 기질지성인가요? 3.본연지성과 거기서 나오는 감정인 사단을 통괄하는 마음을 도심 기질지성과 거기서 나오는 감정인 칠정(혹은 사단과 칠정)을 통괄하는 마음을 인심 이렇게 생각해도 됳까요? 그리고 인심은 도심에 비해 비천한 마음일까여?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