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소크라테스 관련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3월 28일 15시 24분
- 조회수
- 101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저는 ‘이성의 고유한 기능이 훌륭하게 발휘되고 있는 상태’와 ‘이성이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훌륭하게 발휘하고 있는 상태’라는 두 구절은 동일한 상태를 진술하고 있는 구절, 달리 말해서 동일한 의미를 지닌 구절이라 생각하였습니다. 만약 동일한 의미를 지닌 것이라면, 두 구절은 동치이므로, 말씀하신 전제로부터 후자의 구절을 결론으로 이끌어 내어도 부당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질문자께서는 상이한 상태를 진술하는 두 구절로 보시는 것 같습니다. 두 구절이 의미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지 알려 주시면 읽고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김규호 회원님의 글] ▒▒▒▒▒▒
교수님의 보충자료 프린트의 지덕복합일설에 대한 설명을하는 부분 중 인간의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의 논리가 좀 이해가 안되는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교수님의 자료에 따르면
"어떤존재의 최선의상태란 그존재가 소유한 최선의것(고유한기능,본질)이 완전히 실현되어 있는상태 혹은 그 존재의 고유한 기능이 훌륭하게 발휘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서술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이어가서 인간에게 최선의것 혹은 고유한기능 혹은 본질은 이성이기 때문에 인간의최선의 상태는 '영혼 안의 이성이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훌륭하게 발휘하고 있는 상태'이다. 라고 끝맺음을 합니다.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논리적으로만 보면 이 끝맺음 부분이 좀이상한것 같습니다. 왜냐면 '최선의 상태는 최선의 것 혹은 고유한 기능이 훌륭하게 발휘되고있는 상태이다'라는 전제에서 최선의 것이 이성이라면 그냥 바로 대입해 보면 인간의 최선의 상태는 이성이 훌륭하게 발휘되고 있는상태가 맞는게 아닌가요?
왜 이성이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발휘한다는 말까지 추가가 되면서 인간의 최선의 상태가 이성이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훌륭하게 발휘하고 있는 상태라고 설명하는지 약간 논리적으로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립니다. 왜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발휘한다는 말까지 추가가 된건가요? 어떤 것이완전히 실현된다는 말자체가 그것의 고유한 기능을 잘발휘하고 있는 다는 말을 함축해서 그런건가요?
그냥넘어가도 될것같기는 한데 다시 복습하다가 계속 너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