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동서양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3월 29일 10시 13분
조회수
13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정혜 수행에 대한 관점은 불교 종파들과 불교 사상가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교를 통해 혜를 닦고, 선을 통해 정을 닦는다”를 불교의 모든 종파와 사상가가 수용하는 공통의 입장으로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의천의 교관병수에서 교는 구체적으로 화엄교학을 가리키고, 관은 천대선법인 지관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교관병수는 교학과 함께 하는 선 수행 실천을 주장하는 것이지, 교종의 교를 통해 이론적 측면을 공부하고 선종의 관을 통해 실천적 측면을 공부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2. 도덕원리는 논증의 결과물이 아니라 개인의 결단의 산물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도덕원리의 결단이 비합리적인 주관의 변덕과 가변적인 주관의 감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수많은 경험 속에서 이루어지는 진지한 숙고의 산물입니다. ▒▒▒▒▒▒ [김윤지 회원님의 글] ▒▒▒▒▒▒ 1. 불교 불교 삼학에서 정과 혜가 있습니다. 교를 통해 혜를 닦고, 선을 통해 정을 닦는다고 하면 틀린 말인가요? 의천은 교관병수에서 교는 이론적 측면, 관은 실천적 측면이라고 보았는데 이때 교종의 교를 통해 이론적 측면을 공부하고 선종의 관을 통해 실천적 측면을 공부한다고 하면 틀린건가요? 2. 메타윤리학 헤어 도덕판단의 필요충분조건은 보편화가능성이라고 했는데, 도덕판단의 근원이 되는 도덕원리가 주관적이어도 되는건가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