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 관련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4월 10일 16시 56분
- 조회수
- 21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스토아 학파>
1. “만일 네가 이러한 것들을 목표로 한다면”에서 ‘이러한 것들’이란 다른 사람에게 강요받지 않는 것, 방해받지 않는 것, 비난받지 않은 것, 힐난당하지 않는 것, 자의에 반해서 행하지 않는 것, 타인에게 해침을 받지 않는 것, 적을 두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너는 적절하게 힘씀으로써 그것들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에서 ‘그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필연적으로 결정되어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들, 우리가 행하여 결정할 수 없는 것들)’이고, “어떤 것들은 전적으로 포기해야만 하고 또 다른 어떤 것들은 당장은 미루어두어야만 한다는 것을 기억하라.”에서 ‘어떤 것들’ 또한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입니다.
“만일 네가 또한 이것들과 더불어 지위를 얻는 것 그리고 부유하게 되는 것을 바란다고 한다면, 너는 결코 그것들 가운데 나중의 것들, 즉 지위를 얻는 것과 부유하게 되는 것조차도 획득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너는 또한 앞의 것들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에서 ‘이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이고, ‘그것들’은 육체, 평판, 지위, 부와 같이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을 말합니다.
“자유와 행복을 가져오는 그것들을 어쨌든지 간에 획득할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가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외적인 인상에 휩쓸리게 되면 우리의 정신은 정념에 예속되어 불행과 부자유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태도로 일관하고,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의 영역에서 이성의 인도에 따라 판단하고 선택하고 행위할 때 우리는 참된 자유와 행복을 누리게 됩니다. 이처럼 ‘자유와 행복을 가져오는 그것들’이란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의 영역에서 이성의 인도에 따라 판단하고 선택하고 행위하는 것을 말하고, 외부의 인상에 휩쓸려 우리 정신에 정념에 예속되면 그러한 것들은 획득할 수 없게 됩니다.
<에피쿠로스학파>
1. 에피쿠로스학파에게 있어서 비합리적 신념은 고통의 한 원인인 반면, 스토아학파에게 있어서 그것은 고통을 포함한 모든 정념의 근원입니다. 달리 말해서 모든 종류의 정념은 비합리적 신념이라는 하나의 원인에서 생겨나는 것입니다.
2. 에피쿠로스학파에 의하면, 이성을 따르는 삶은 쾌락으로 충만한 삶(즐거운 삶)의 영위를 위한 방법입니다. 이런 점에서 둘 사이의 관계는 수단과 목적의 관계라 하겠습니다. 하지만 이성을 따르지 않고서는 결코 쾌락을 얻을 수 없고, 쾌락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세계에 대한 참된 이성적 인식과 쾌고에 대한 합리적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성을 따르는 삶과 즐거운 삶은 본질적으로 다른 삶임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목적과 그것의 성취를 위한 본질적 수단이라는 관계로 통일됩니다.
▒▒▒▒▒▒ [오주영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복습 중 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 관련해서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
<스토아 학파>
서동양 교재(22년 개정판) 95-96p에 나오는 원문 박스 해석이 헷갈리고 이해가 되지 않아 여쭤봅니다.
"... 왜냐하면 너는 해가 되는 어떤 것에도 고통을 당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만일 네가 이러한 것들을 목표로 한다면, 너는 적절하게 힘씀으로 써 그것들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 그러나 어떤 것들은 전적으로 포기해야만 하고 또 다른 어떤 것들은 당장은 미루어두어야만 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96p)"
- 포기해야 하는 어떤 것, 미루어두어야하는 어떤 것이란 무엇인가요?
"(위 원문에 이어서) 그렇지만 만일 네가 또한 이것들과 더불어 지위를 얻는 것 그리고 부유하게 되는 것을 바란다고 한다면 너는 결코 그것들 가운데 나중의 것들, 즉 지위를 얻는 것과 부유하게 되는 것조차도 획득하데까지 이르지는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너는 또한 앞의 것들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로지 자유와 행복을 가져오는 그것들을 어쨌든지 간에 획득할 수는 없을 것이다."
- '이것들과 지위를 얻는것...' 에서 이것들이란 무엇인가요?
- '너는 결코 그것들 가운데 나중의 것들..'에서 그것들은 무엇을 가르키나요?
- '너는 또한 앞의 것들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에서 앞의 것들은 무엇을 가르키나요?
- '자유와 행복을 가져오는 그것들을 어쩄든 지 간에 획득할 수는 없을 것이다'에서 자유와 행복을 가져오는 그것들은 무엇을 가르키며, 왜 획득할 수 없다는 것인지 글의 맥락을 모르겠습니다.
<에피쿠로스학파>
1.고통의 원인들 중 몇몇이 신, 죽음, 내세이고 이와 같은 공포의 근원이 세계에 대한 잘못된 믿음, 즉 비합리적신념이나 판단오류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고통의 근본원인 = 비합리적 신념이라는 점에서 스토아와의 공통점으로 볼 수 있나요?
아님 에피쿠로스는 많은 고통의 원인 중 신,죽음,내세에 관련된 원인이 비합리적 신념이라는 건가요?
2.자료 학습포인트 10번 중 행복한 삶과 이성을 따르는 삶의 관계에 대한 에피쿠로스 주장에 대해서 정확히 어떤 관계인가요? 덕 -행복의 관계 처럼 목적-수단의 관계인지, 스토아의 이성=행복같이 동일한 관계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으며,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