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불교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4월 18일 16시 23분
- 조회수
- 30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중관파는 심성, 즉 마음의 본래 모습을 일체 번뇌 망상이 없는 청정한 공성으로 보고, 마음의 이러한 측면에 관심을 집중하였습니다. 마음의 성격에 대한 이러한 생각을 심성본정설이라 합니다. 유식파가 번뇌 망상의 근원으로 보는 마음은 본질적으로 아뢰야식이고, 아뢰야식은 온갖 업으로 더러워져 있는 염오식입니다. 유식파는 그러한 아뢰야식이 전변하여 드러나는 결과를 해명하고, 수양을 통해 염오식의 지로 변화시키는 데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마음의 염오적 측면을 강조한다고 한 것입니다.
2. 네. 총상과 별상입니다.
3. ‘이와 사’, ‘이치와 사물’은 동일 개념입니다. 여기서 사 혹은 사물이란 인연이 화합하여 생겨난 온 우주의 일체의 현상을 말합니다.
4. 성종은 일체 만유는 동일한 법성을 가졌기 때문에 모두 성불할 수 있다는 교의를 가진 불교 종파로서, 화엄과 천태가 여기에 속합니다. 상종은 인도 유식 사상에 근거하여 형성된 유식종을 말합니다.
5. 자신의 마음의 관조하는 것을 ‘반조’ 혹은 ‘회광반조’라 합니다. 이는 몰입하여 자신의 마음을 돌이켜 비추어 본다는 의미를 지닌 용어입니다.
6. ‘저의 분성에 의거하면’은 ‘제 입장에서 보면’이라는 말과 같습니다.
7. ‘조도’란 조사(예: 달마 스님, 혜능 스님 등)의 가르침을 말하는 것이고, ‘논문’이란 불교 경전과 논서를 일컫는 것입니다.
▒▒▒▒▒▒ [김윤지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불교 파트 질문 드립니다
질문
교재 645p 일심이문사상은 기본적으로 중관파의 심성본정설과 마음의 염오적 측면을 강조하는 유식파의 심성론을 원융시킨 보다 포괄적인 심성론이라 할 수 있다.
심성본정설이 뭔가요? 유식파가 염오적 측면을 강조한다는 게 어떤 부분에서 그런건가요/?
교재 647p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의 관계는 통상과 별상의 관계다. 통상, 별상이 육상원융에 나오는 총상, 별상인가요?
교재 649p 심진여문은 심진여문대로 깨긋함과 더러움, 이와 사의 일체법을 포섭하는 전체가 되고, 심생멸문은 심생멸문 대로 깨끗함과 더러움, 이치와 사물의 일체법을 포섭하는 전체가 되는 것이다.
이와 사가 이치와 사물을 의미한다고 생각했는데, 이와 사, 이치와 사물이 다른 의미인가요?
교재 658p 성상겸학에서 성종과 상종이 무엇인가요?
교재 661 관조 = 반조인가요?
교재 661 저의 분상에 의거하면 어떤 것이 공적영지의 마음입니까? 할 때의 분상이 무슨 뜻인가요?
교재 667 수심지사는 먼저 조도로서 자심의 본묘함을 알아 문자에 구애되지 말 것이요, 그 다음에 논문으로써 마음의 본체와 작용을 변할 것이다 에서 조도와 논문이 무엇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