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4~5월 강의질문]  흄의 이성과 정념의 관계에 대한 명제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4월 18일 16시 57분
조회수
18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정념에 대응하는 세계 내 대상이 없는 까닭은 정념은 본질적으로 주관의 내면에서 생겨나는 감정일 뿐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관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2. 예를 들어 이성에 구축된 ‘A는 B이다.’라는 진리값을 갖는 명제(이성적 지식)에 대립하는 것은 그것의 반대 명제 혹은 모순 명제입니다. 정념은 진리값을 가지지 않으므로, 이성적 지식과 반대 혹은 모순 관계에 있을 수 없습니다. 달리 말해 이성적 지식과 대립할 수 없습니다. ▒▒▒▒▒▒ [김예지 회원님의 글] ▒▒▒▒▒▒ “이성은 의지를 지도함에 있어 정념에 대립할 수 없다.“라는 명제를 증명하는 논리와 관해서, 흄에게 정념은 존재의 변용, 즉 어떤 내적인 감정 상태가 다른 내적인 감정 상태로 변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인데 정념에 대응하는 세계 내 대상이 없는 까닭은 정념은 감정 상태이지 물질적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파악하면 되는걸까요? 이어서 이성적 지식이 관념들의 실제 관계나 대상과의 일치 여부에 따른 진리값을 가진다는 말은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없는 정념과 진리값을 가지는 이성적 지식의 차이점이 드러나는 부분이라고 생각했는데, 정념과 이성적 지식이 대립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항상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