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근본불교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5월 08일 17시 54분
- 조회수
- 138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삼법인에는 괴로움을 해결하는 방법들에 대한 주장이 직접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근본 불교에서 그러한 방법들은 사성제에서 찾을 수 밖에 없습니다. 삼법인과 사성제에는 모두 일체가 괴로움이라는 사실과 그러한 괴로움의 원인, 그리고 괴로움이 멸한 상태에 대한 주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 삼법인에는 괴로움이 멸하는 방법에 대한 주장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이처럼 삼법인과 사성제는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으로 연결되어 부처 대각의 실상을 총체적으로 알려주는 것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해당 문제의 출제자는 '방법들의 공통점’을 서술할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따라서 불교 삼학의 공통점을 서술할 수 있다면 그 또한 답안이 될 것입니다.
▒▒▒▒▒▒ [박지윤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근본불교 질문입니다.
근본불교 2007년 기출, 기출문제 분석집 p.321 5번 문제를 보면, ‘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방법들의 공통점을 쓰시오.’ 부분에 팔정도의 공통점인 중도의 방법을 답으로 제시해주셨는데요. 저는 ㄴ을 삼법인의 일체개고와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하여 기존에 문제를 풀 때는 ‘모든 것이 연기되어있음을 깨닫고 아집에서 벗어나 열반에 이르러야 한다.’고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과거에 작성된 게시판 질문에서 교수님께서 문제에서 ‘방법들’이라는 용어로 인하여 팔정도의 공통점을 쓰셨다는 답변을 보았습니다.
1. 팔정도는 사성제의 도성제와 관련된 개념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삼법인과 관련된 문제에서도 제시해도 되는 개념인것인가요..?
삼법인과 사성제를 구분하지않고 이처럼 삼법인 문제에 사성제에 나온 팔정도 개념을 해결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삼법인과 사성제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저는 천재교과서 윤사에 따라, 사성제는 연기의 원리를 인생에 적용하여 인간고통의 원인과 그것을 제거하여 해탈에 이르는 방법이고, 삼법인은 연기의 원리를 현상 전체에 적용하여 그 특징을 세가지로 명시한 것으로 알고 있고, 그동안 두 개념을 분리하여 보고 있었어서 구체적인 개념 간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ㅠㅠ)
2. 문제 해결방안을 팔정도가 아닌 삼학(계,정,혜)으로 봐도 괜찮은지도 궁금합니다.
공부하다가 이 문제와 관련하여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늘 꼼꼼하게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