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흄 도덕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5월 09일 20시 14분
조회수
20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흄이 ‘도덕’이라 할 때, 그것은 도덕 관념, 도덕판단을 포함하여 개념입니다. 도덕 관념, 도덕판단은 근원은 시인과 부인의 감정이라는 도덕감이기 때문에, 도덕은 그러한 감정을 가지는 것(=느끼는 것)이라고 정의한 것입니다. 2. 도덕판단의 본질은 판단 대상에 대해 시인과 비난의 감정을 느끼는 것입니다. 3. 도덕감이란 판단 대상에 모든 사람 혹은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느끼는 시인과 부인의 감정입니다. 4. 도덕감은 관념이 아니라 인상입니다. 도덕감은 ‘인상’이라 했을 때, 인상은 구체적으로 여러 종류의 인상들 중에서 1차 인상인 쾌락과 고통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유래하는 반성 인상입니다. 보충자료의 내용은 이를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5. 존재의 변용이란 나의 주관적 상태가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됨을 의미합니다. 6. 도덕성이란 어떤 대상이 지닌 도덕적 성격을 말합니다. ▒▒▒▒▒▒ [류재경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흄 개념이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올바르게 이해했는지 확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 도덕=어떤 대상이나 행위에 대해 시인의 감정과 부인의 감정을 '가지는 것' 2. 도덕판단=판단 대상에 대해 시인과 비난의 감정을 '느끼는 것' 3. 도덕감=시인과 부인의 감정 그 자체 이렇게 각각 이해하는게 우선 적절한가요? 4. 보충자료 22페이지 2)도덕의 기초: 감정의 2번에 '인상이란 쾌락과 고통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유래하는 반성인상인 시인과 부인의 감정이다.' 라고 써있는데요, 인상에는 1차 인상, 2차 인상이 있고 1차인상이 쾌락과 고통인데 왜 정의가 위와 같이 나왔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 정의에 따르면 인상=반성인상=시인과 부인의 감정인데 그러면 =도덕감 이렇게 까지 되는건가요?? 5. 보충자료 21페이지 두번째 명제 2번. '정념은 단지 존재의 변용이기 때문에~' 에서 존재의 변용이라는 것이 이해가 어렵습니다. 6. '도덕'과 '도덕성'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흄의 개념들이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