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이이 교기질 질문

작성자
김지민
등록일
2023년 05월 16일 14시 18분
조회수
103
첨부파일
“성은 경 수양의 결과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교기질의 바탕이 되기도 한다. (율곡의 성학집요에 함의된 도덕 교육론) (씨마스)” 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보면 이이의 교기질이 가능한 근거가 성(誠)<<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원문에 "사람만은 청탁(淸濁)과 수박의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마음이 텅 비고 밝기 때문에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라고 나와있어서 교기질이 가능한 근거는 1) 기질이 변화할 수 있고 2) 마음이 허령하기 때문이라고 보았고, '마음이 허령하고 신령하기 때문에 = 마음이 성(誠)이기 때문에' 라고 해석했는데 혹시 잘못된 해석일까요? '마음이 허령하고 신령하다' 라는 말이 '마음이 성(誠)이다' 와는 다른 말일까요? + 도교과 카페에서 사람들이 마음의 본체가 성(誠)이라서 교기질 가능이라고 보는 게 아니라 마음이 본래 깨끗하니까 (이때 완벽한 성은 아니고 원래 텅 비고 맑은 상태였으니까) 교기질 했을 때 성이 보존될 수 있다.라고 하는데 그러면 성이 교기질의 가능 근거,바탕이 아니라 교기질의 결과(교기질했을때 성(誠)이 보존될수있다고 보니까) 아닌가요????? 이 사람들은 왜 그럼 교기질 가능근거가 성이라고 본건가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