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퀴나스 도덕의 인식 구조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5월 23일 20시 17분
조회수
14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실천 이성의 추리에서 사용되는 도덕의 제1원리를 파악하는 것이 도덕적 직관입니다. 이론 이성은 도덕의 영역에서 작용하는 이성이 아니므로, 도덕의 제1원리는 이론 이성의 추리에 사용되는 원리가 될 수 없습니다. 2. 사상가의 원문을 해석할 때에는 자비의 원리라는 독해의 원리를 적용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비의 원리를 적용하여 해석해 보면, “행해야 할 것에 대한 보편적인 판단들”은 도덕판단을 이끌어내는 도덕의 제1원리와 그것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될 수 있는 보편적인 도덕원리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3. 아닙니다. 양심은 자연법의 제1원리와 일반 명령들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상황에서 구체적인 도덕판단을 이끌어내는 능력입니다. 4. 도덕적 덕입니다. ▒▒▒▒▒▒ [이하늘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아퀴나스 도덕의 인식 구조와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동서양 교재 139페이지에 두 번째 원문 내용 중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이 둘과 도덕적 직관, 양심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각각이 이론이성과 실천 이성에 대응하는 것인가요? 또한 원문 첫 줄에 이론이성과 실천이성 모두 제일원리들을 가지고 있다는데 이것이 무슨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2. 같은 원문에 도덕적 직관은 행해야 할 것에 대해 보편적인 판단들은 선언한다고 되어 있는데, 도덕적 직관이 파악하는 것은 선을 추구하고 악을 멀리하라는 것만 판단하는 것 아닌가요? 왜 보편적 판단‘들’이라는 복수의 표현이 붙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3. 양심이 도출해내는 원리는 생명가치, 생식 가치, 지식과 사회성의 가치 등 자연법의 일반 명령이라고 이해했는데, 제가 이햐한 바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4. 마지막으로 사주덕 중 정의는 지적인 덕에 해당하는 것인지, 도덕적 덕에 해당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