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콜버그

작성자
한동현
등록일
2023년 05월 24일 01시 14분
조회수
85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콜버그 질문드립니다. a. 보충자료 2p.를 보면 성숙한 도덕성의 본질은 정의이고, 이 정의의 본질은 상호성 및 공정성이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강의 중 추가 설명으로 최상의 도덕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정의의 원리에 따라 판단한다. 라고 하셨습니다. 또한 6단계의 형식적 원리 가 정의의 원리라고 하셨습니다. b. 그런데 저는 1단계 - 6단계 각각 단계에서 아이들이 생각하는 옳음(정의)의 의미가 다르고 각 단계에 해당하는 아이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옳 음(정의)에 따라 도덕판단을 한다고 이해했습니다. 단계 별 아이들의 그 단계의 정의의 원리에 따라 도덕판단을 한다.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a와 b가 유기적으로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아래부터는 질문입니다. Q1. 성숙한 도덕성의 본질인 정의, 즉 정의의 원리는 보편적인 원리이기 때문에, 이러한 정의의 원리를 가지고 판단을 이끌어 내는 6단계에 해 당하는 아이들만이 성숙한 도덕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요? Q2. 각 단계마다의 ‘정의’가 각각 있는데, 왜 6단계에 해당하는 성숙한 도덕성의 본질만이 ‘정의’ 라고 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정의의 원리 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는 단계는 6단계 뿐인가요? 1-5단계에서 판단을 위해 사용하는 원리를 정의의 원리라고 하면 안되는 것인가요? 1-5단 계에서 판단을 위해 사용하는 원리는 형식적 원리라고만 해야하는 것일까요? Q3. 1-5단계에서 각각 아이들이 생각하는 ‘정의’와 성숙한 도덕성 단계에 해당하는 6단계에서 아이들이 생각하는 ‘정의’ = 정의의 원리 = 보편 적 원리이자 최상의 도덕원리는 다른 의미의 ‘정의’ 라고 보면 되는건가요? 어떠한 조건 없이 그냥 콜버그의 ‘정의’를 물어보는 경우는 없다고 보 면 될까요? 아니면 콜버그의 ‘정의’를 물어봤을 때는 6단계에서의 정의의 의미인 최성의 도덕원리를 답하면 되는것일까요? Q4. 성숙한 도덕성의 본질인 정의는 상호성과 호혜성을 본질로 한다고 했는데, 그러면 6단계에 해당하는 아이들만 정의의 본질을 상호성, 호혜 성으로 보고, 다른 단계에 해당하는 아이들은 정의의 본질을 상호성, 호혜성으로 보지 않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