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서양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5월 28일 12시 58분
- 조회수
- 11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개별자의 본질(‘형상’이라 명명하기도 함)은 개별자가 운동하여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입니다. 따라서 “본질은 개별자의 목적이다.”라는 주장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개별자의 본질은 그것의 완성을 향한 운동의 결과로 완전히 성취되는 것 혹은 실현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질이 목적이라면, 목적은 완전히 성취된 본질이고, 완전히 성취된 본질은 곧 본질은 완전히 실현된 상태로 있는 것이므로, “목적은 본질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이다.”라는 주장과 “목적은 본질이다.”라는 주장은 상이한 의미를 지닌 주장이 아닙니다.
2. 추론적 사고(dianoia)의 성격에 대해 부연 설명 드리겠습니다. 추론적 사고와 관련된 인식의 방법은 기하학 혹은 산술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그것은 가정에서 결론으로 나아가는 인식의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인식의 대상이 되는 홀수나 짝수, 도형들, 세 종류의 각 등의 수학적 대상들(이것은 감각 경험이 가능한 실물이 아니라 우리 정신 안에 있는 관념이므로, 이를 상징하는 나무를 개념이라 부르는 것은 타당합니다.)을 탐구할 때에는 이미 알고 있거나 알려진 것들을 가정들로 채택하여, 이것들로부터 수학적 대상들과 관련된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런 방식으로 수학적 대상들을 인식하는 것이 추론적 사고입니다. 여기서 ‘가정들’이란 모든 사람들에게 명백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들입니다.
▒▒▒▒▒▒ [이주연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서양파트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1. 목적론적 세계관에 대한 답변을 찾아보던 중, 이해하는 데 충돌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모든 존재의 목적은 선이고 선은 본질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라는 부분과
목적은 곧 그것의 본질이다, 존재자들의 목적은 본질을 이룬다는 부분입니다.
본질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를 목적으로 본다면 본질과 목적은 다른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목적이 곧 본질이다, 목적이 본질을 이룬다고 하는 부분을 보면 목적과 본질을 같은 것으로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2. 플라톤의 선분의 비유에서 수학적인 대상, 추론적 사고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아 관련 답변을 찾아보았는데,
답변 중 ‘이데아는 추론적 사고 과정 특히 연역적 사고 과정에서 원리이고, 이 원리를 전제로 연역적 방식으로 도출된 결론이 수학적인 것들이다’ 라는 부분이 잘 와닿지 않습니다.
또한 인터넷을 찾아보니 나무의 그림자를 개념으로 보기도 하던데, 수학적인 것과 개념은 어떻게 연결지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항상 답변 감사드립니다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