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정치사상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5월 28일 13시 06분
- 조회수
- 198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비교한 이유는 자신의 정치적 구성주의가 합리적 직관주의나 도덕적 구성주의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입니다.
2. 교재에 나와 있는 방식으로 서술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3. 롤스의 정의의 원칙에 대한 왈처의 비판의 핵심은 롤스의 정의의 원칙이 공동체의 특수성과 구체성을 초월하여 이성의 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원리이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는 것입니다. 왈처는 특정한 공동체에서 살아가는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의 사회적 의미를 분배 정의의 원칙으로 제시함으로써 분배 정의와 관련한 공동체주의적 입장을 정립합니다.
▒▒▒▒▒▒ [이하늘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정치사상 공부하다 롤스 파트에서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
1. 교재 221페이지에서 롤스가 합리적 직관주의와 도덕적 구성주의와 각각 비교를 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굳이 그 두 입장과 비교한 이유가 있나요?
2. 공정한 기회 균등의 원칙을 보장해야 하는 이유가 인간적 가치의 상실 문제라고 설명을 해 주셨는데, 이는 사람들이 제1원칙에 합의하는 이유와 같더라구요. 그렇다면 사람들이 제2원칙에 합의하는 이유도 인간적 가치의 상실때문이라고 써도 되는 건가요? 아니면 책에 나온 다른 이유(무지의 베일, 불운한 자가 되지 않으려함)를 써야 하는 건가요?
3. 또한 왈처가 복합평등론을 주장한 것과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원래 공동체주의자는 롤스를 자유의 측면과 관련하여 비판하였다고 하셨는데, 왈처는 노직과 마찬가지로 평등과 분배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비판한 것 아닌가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