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정치, 교과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김윤지
- 등록일
- 2023년 05월 31일 19시 01분
- 조회수
- 232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피터스
1. 자율적 합리적 도덕성은 비판적, 반성적 능력을 전제하는데 그 능력을 통해 관습적 규범을 거부하는 게 아니라 전통적 도덕 체계를 일관된 방식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보인다고 되어있습니다. 보통 비판적, 반성적 능력이라고 하면 관습에 대해 비판, 반성하여 새로운 규범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아닌가요..?
2. 타율적 인습적 도덕성은 인습적 타율적 도덕성으로 외워도 되나요? 순서가 중요한가요?
질문
루소
1. 교재 112p ‘개인들은 조국의 구성원으로서가 아니고 그 방어자로서만 서로 적이 되는 법이다.’ 이게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2. 교재 119p ‘공동의 상위자’란 국가인가요? 일반의지인가요?
3. 교재 122p 자유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하는 것보다 타인의 의지에 복종하지 않는 것에 있다. 자유는 타인의 의지를 우리의 의지에 복종시키지 않는 것에 있다. 주인인 자는 누구든 자유롭지 않으며, 지배하는 것은 곧 복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각해보면 노예가 자유롭지 않은 건데, 왜 주인이 자유롭지않다고 하는건가요?
4. 교재 128p ‘영국 국민이 자유로운 것은 오직 의회의 대의원을 선출할 때뿐이며 일단 선출이 끝나면 그들은 노예가 되고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된다. 그들이 자유를 누리는 짧은 기간동안에 행사하는 자유는 그들이 자유를 상실하기에 정녕 합당한 것이다’ 그렇다면 루소는 영국 선거를 긍정적으로 보는건가요? 마지막 말 때문에 헷갈립니다..
5. 교재 111 개인들 사이의 전쟁이란 있을 수 없다고 하는데, 민사소송 같은 것을 생각해보면 적대관계가 장기간 지속되고, 피해에 대한 보상을 얻을 목적으로 싸웁니다. 이런 면에서 개인 간 전쟁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게 아닌가요?
몽테스키외
1. 전제정은 재상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왜인가요?
롤스
1. 교재 191P 순수 절차적 정의가 갖는 독특한 측면은 정의로운 결과를 결정하는 절차가 실제로 수행된다는 데 있다. 완전 절차적 정의나 불완전 절차적 정의에서는 절차가 실제로 수행되지 않나요?
노직
1. 교재 227P 독립인에게 보상을 제공하여 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는데, 어떤 보상을 제공한 것인지 정확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독립인은 왜 보호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것인가요? 그들이 비합리적인 사람이기 떄문인가요?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갑자기 날씨가 더워지는데 이럴 때 감기 걸리기가 딱 좋다고 하더라구요..
건강 조심하세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