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응용윤리 질문입니다
- 작성자
- 이하늘
- 등록일
- 2023년 06월 13일 13시 19분
- 조회수
- 301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응용윤리를 공부하던 중 테일러와 레건 파트에서 ‘도덕적 지위’와 ‘도덕적 행위자’의 개념이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1. 테일러는 모든 생명체가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는데, 그렇다면 모든 생명체(식물도 포함하여) 도덕적 지위를 가지나요?
1-1. 그리고 ‘도덕적 행위자’는 인간만이라고 말씀하셨는데, 모든 생명체가 ‘도덕적 지위’를 가지지만 인간만이 ‘도덕적 행위자’에 해당한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2. 레건도 동물과 인간이 내재적 가치를 가진다고 했는데, 동물과 인간만이 ‘도덕적 지위’를 가지지만 인간만이 ‘도덕적 행위자’라고 이해해도 되나요?
3. 테일러와 레건에게 있어 각각 ‘도덕적 지위’를 갖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또 두 학자가 도덕적 지위의 의미를 같게 보는 것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
4. 추가로 심층생태주의가 인간중심주의 환경윤리의 한계를 말할 때, ‘환경문제의 주요 원인인 경제 성장 이데올로기를 승인하고 있다’ 고 하는데 이 말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수업 중에 설명해주셨는데 제가 놓친 거라면 죄송합니다.)
5. 레건은 싱어의 동물해방론이 동물들과 인간이 다르게 취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비판하는데, 싱어는 인간과 동물을 같게 취급하고 있는것 아닌가요,,,? 말이 모순되는 것 같은데 이 비판을 어떻게 해석하면 되나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