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퀴나스 재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6월 19일 18시 14분
조회수
88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아퀴나스가 지적인 덕으로 강조한 것은 크게 네 가지인데, ‘지성(intellect) 혹은 직관(intuition)’, 지혜(sapientia), 지식(scientia. 이를 ‘과학적 사고’로 번역하는 것은 적절해 보이지 않습니다.), 사려(prudential)가 그것입니다. 이 중에서 사려는 인간이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조건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아퀴나스는 그것을 사주덕에 포함시킵니다. 이러한 아퀴나스의 입장에 근거하여 답변드리면, 1. 지적인 덕들 중에서 지혜(sapientia)와 사려(prudential)는 다른 종류의 것들로서, 이중 최상의 덕은 사려가 아니라 지혜입니다. 2. 사주덕 중 사려는 지적인 덕의 한 종류이고, 나머지는 도덕적 덕에 해당합니다. 3. 지혜(sapientia)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철학적 지혜와 유사한 것으로, 사려(prudential)는 실천적 지혜와 유사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참고: 씨마스 ‘40주제 윤리와 사상 개념 사전’에 실려있는 사하키안의 ‘윤리학의 이론과 역사’의 해당 내용은 잘못된 것으로 보입니다. ▒▒▒▒▒▒ [박지윤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지난 달에 올렸던 아퀴나스 질문 관련하여 누락된 답변이 있어 재질문 드립니다. 씨마스 40주제 윤리와 사상 개념사전에 실려있는 ‘사하키안의 (윤리학의 이론과 역사)’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덕은 크게 자연적 덕과 종교적 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연적 덕은 다시 지적인 덕과 윤리적인 덕으로 나눌 수 있다. 지적인 덕은 지성과 과학적 사고, 지혜 등으로 구성되며, 선과 진리를 추구할 수 있도록 이론적인 지성을 완성시키는 능력이다. ‘지성’은 원리를 분별하는 습관이고, ‘과학적 사고’는 지성으 로 하여금 결론을 연역할 수 있도록 숙달시키며, ‘지혜’는 가장 순수한 지식인 궁극 원인을 생각하며 모든 진리를 판단하고 정리한다. 지적인 덕이 이성을 지도한다면, 윤리적인 덕은 욕망을 통제하고 지도함으로써 올바른 생활을 하고 선에 이를 수 있도록 한다. 윤리적인 덕으로는 플라톤의 네가지 기본 덕목을 들 수 있다. ‘용기’와 ‘절제’는 이성이 감성을 통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덕이고, ‘정의’는 감정을 뛰어 넘는 행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덕이며, ‘지혜’는 이성이 스스로를 통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덕이다.” 해당 내용에는 지혜, 즉 사려가 지적인 덕과 도덕적 덕에 둘 다 들어가는 것처럼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번 질문게시판을 통해 기본서 내용 속 지혜가 지적인 덕과 도덕적 덕에 포함된다고 나오는 부분에 대해 의문이 생겨 질문드렸는데 답변이 누락되어 다시 질문드립니다! 1. 저는 사려는 지적인 덕의 최상의 덕으로 알고 있고, 지적인 덕에만 해당한다고 생각했는데, 위 기본서 내용은 잘못된 내용인가요? 아니면 사하키안이 언급하는 지적인 덕의 지혜와 사주덕의 지혜(사하키안이 도덕적 덕이라 말하고 있는 것)가 다른 성질의 덕인 건가요?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면 될까요?ㅠㅠ 2. 사하키안의 글을 참고하여 정리한다면 지적인 덕에 지성, 과학적 사고, 지혜(사려)가 해당하고, 도덕적 덕에는 정의, 절제, 용기가 들어간다고 정리하면 될까요? (질문게시판 다른 글에서 사주덕 중 사려는 지적인 덕, 정의,절제,용기는 도덕적 덕이라고 답변해주신 내용을 참고했습니다.) 3. 교수님 1-2월 서양 개념 책 p.140 아퀴나스 덕론에서 지적인 덕에 지혜, 직관, 사려 등이 해당한다고 나오는데 앞의 질문들과 관련있는 내용인가요..? 지혜와 사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사주덕의 사려와 관련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본서와 교과서 출판사에 실려있는 내용이다보니 혼란이 되어 질문드립니다. 늘 꼼꼼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