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용수 불생 불멸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6월 20일 17시 31분
조회수
335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불생불멸을 논하면서 용수가 의도하였던 바는 홀로 생하고 홀로 멸하는 고유한 자성을 지닌 나 혹은 나의 외부의 것이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음을 보이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귀류법을 사용하여 자생, 타생, 공생, 무인생하는 고유한 자성을 지닌 실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입증합니다. 즉, 고유한 자성을 지닌 실체가 있고, 그러한 존재가 생멸한다고 하면, 필연적으로 불합리한 결론에 이르게 됨을 보임으로써, 요컨대 고유한 자성을 갖는 자타의 생함과 멸함이 불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연기의 실상을 알리려 한 것입니다. ▒▒▒▒▒▒ [최예진 회원님의 글] ▒▒▒▒▒▒ 동양철학 교재 용수 팔불 중도게 불생 불멸 부분에서요 불생 불멸 , 생함도 멸함도 없다는 이와 같은 용수의 주장은 근본적으로 고유한 자성을 지난 자, 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관점에 근거해 있다 ->이건 모든 것이 무자성해야 생함도 멸함도 없다고 이해했습니다. 근데 왜 마지막에 ‘이처럼 용수는 고유한 자성을 갖는 자타의 생멸이 불가능함을 밝힌다’ 라고 얘기하나요?? 생멸이 불가능하면 불생 불멸인건데 그럼 고유한 자성을 가지면 안되는 것 아닌 가요? 무자성이어야 불생 불멸하지 않나요? 앞서 불생 불멸은 고유한 자성을 가 진 자 타가 존재하지 ’않아야‘ 가능하다고 했으면서 왜 여기서는 고유한 자성을 가지면 ’생멸이 불가능‘하다고 하는지 궁굼하고.. 생멸이 불가능하면 불생 불멸 아닌가요? 그러면 고유한 자성을 가지면 안되는것인데.. 왜 고유한 자성을 가져야 생멸이 불가능하다고 하는건지.. 다른 뜻으로 이해해야 하나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