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
- 작성자
- 김윤지
- 등록일
- 2023년 06월 26일 21시 34분
- 조회수
- 131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교수님!
1. 기출 교재 836p 21년 튜리엘,하이트 문제에서 ㄴ도덕적 영역에 해당하는 도덕 원리를 두 가지 제시하라고 써 있는데, 교재의 예시답안에는 도덕 원리가 하나만 적혀 있는 것 같은데 맞을까요..?
2. 하이트는 사회적 인습과 도덕적 규칙의 범주를 나누는 결정적 기준이 문화적 학습과 그에 따른 선천적인 도덕적 직관이라고 하였는데, 혐오감이 들면 도덕적 규칙이고, 혐오감이 들지 않으면 사회적 인습인 건가요? ‘문화적 학습’과 ‘선천적 도덕적 직관’이 각각 사회적 인습과 도덕적 규칙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학습에 따라 도덕적 직관이 들게 되는 것이 맞나요?
3. 교과교육론 교재 148p 나바에즈: 교사는 네 번째 수준에서 학생들에게 멘토와 다양한 정보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교사가 학생에게 멘토를 제공한다는 건가요, 학생들이 멘토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건가요? 멘토는 교사인가요?
4. 교과교육론 교재 141p 유사한 도덕 모듈의 발현 패턴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집단 내 강한 이타성, 집단 외 강한 배타성을 보인다고 하는데, 연결이 어떻게 되는지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도덕 모듈이 선천적인 것이 이타성 배타성과 무슨 관련이 있나요?
5. 이건 교과교육론 질문은 아니긴 한데, 칸트 윤리사상 2008년도 17번 문제에 ‘도덕 법칙에 대한 존중은 ( )이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천)은 안 되고 (순수 실천)만 가능한 건가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장마철인데 건강 조심하세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