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키르케고르, 야스퍼스, 사르트르 질문입니다
- 작성자
- 이하늘
- 등록일
- 2023년 06월 30일 20시 39분
- 조회수
- 108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키르케고르, 야스퍼스 질문 있습니다!
1. 신앞에서 죄인인 자기 자신에 대해 절망하고 그러한 절망을 통해 참된 자기를 회복할 수 있다고 책에 나와 있는데, 종교적 실존 단계에서는 절망이 없지 않나요..? 어떻게 신 앞에서 절망이 가능한 것인가요?
2. 키르케고르에게 신앙이 왜 역설인건지 궁금합니다!
3. 295페이지에서 절망의 유형이 3가지(집단의 절망, 약함의 절망, 강함의 절망)로 분류되어 있는데, 그렇다먄 심미적, 윤리적 실존 단계의 절망이 각각 어떤 유형의 절망에 해당하는건가요?
4. 야스퍼스의 투쟁의 한계상황에서 실존을 위한 투쟁=실존과의 만남=실존과의 사귐
이 세 가지가 다 똑같다고 봐도 되나요?? 아니면 엄연히 다른 개념인 건가요??
5. p.321에서 한계상황에서 현존재는 두 가지 가능성인 무에로의 길과 본래적 존재로의 길 앞에 서게 된다는데, 이 페이지에 나와있는 설명은 무에로의 길에 대한 것이 아니라 본래적 존재로의 길에 대한 설명인거 맞나요?
한계상황에 직면해서 모든 것이 무의미함을 느끼고 현존재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무에로의 길이고, 모든 것에 무의미함을 느끼지만 끊임없는 비약을 시도하는 것이 본래적 존재로의 길이라고 하면 되나요?
6. 328페이지 원문 맨 밑줄에서 [‘불안을 피하기 위해 불안으로 있는 한’ 이 무화적 능력은 자멸한다. ]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질문에 항상 정성껏 답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