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3년 07월 01일 18시 32분
조회수
38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타인에게 피해를 주어서는 안 된다(타인을 배려해라)’와 ‘타인을 공정하게 대우하라’라는 두 원리를 한 문장으로 구성하였다. 2. 하이트는 사회적 인습(인습 규칙)과 도덕적 규칙을 엄격히 구분한 튜리엘의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는 사회적 인습과 도덕적 규칙을 구분하는 것을 무의미한 것으로 봅니다. 왜냐하면 문화권에 따라 튜리엘이 사회적 인습으로 분류한 것(예:과부가 일주일에 두세번 정도 물고리를 먹는 행동)을 도덕적 규칙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고, 도덕적 규칙으로 분류한 것.(예: 남편이 혼자 영화를 보러 가지 말 것을 당부했지만 거역한 아내를 남편이 구타하는 행동)을 사회적 인습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실제로 있기 때문입니다 하이트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은 상이한 문화권에서 행해지는 상이한 문화적 학습과 그에 따른 도덕적 직관의 상이성(도덕 모듈 발현 패턴의 상이성) 때문에 생겨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이트는 어떤 규칙을 사회적 인습과 도덕적 규칙으로 범주화하는데 관여하는 변인은 문화적 학습과 역겨움 및 혐오감과 관련된 선천적인 도덕적 직관이라고 주장합니다. 3. 멘토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뜻입니다. 4. 하이트에 의하면, 동일한 혹은 유사한 도덕 모듈 발현 패턴을 소유한 사람들은 쉽게 집단을 형성하게 되고, 그들은 도덕 모듈 발현 패턴은 집단 내 구성원들 사이의 강한 연대, 이타적 배려의 근원이 됩니다. 동시에 그것은 자신들과 상이한 도덕 모듈 발현 패턴을 지닌 집단에 대해서는 강한 배타적 태도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5. 네. ▒▒▒▒▒▒ [김윤지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1. 기출 교재 836p 21년 튜리엘,하이트 문제에서 ㄴ도덕적 영역에 해당하는 도덕 원리를 두 가지 제시하라고 써 있는데, 교재의 예시답안에는 도덕 원리가 하나만 적혀 있는 것 같은데 맞을까요..? 2. 하이트는 사회적 인습과 도덕적 규칙의 범주를 나누는 결정적 기준이 문화적 학습과 그에 따른 선천적인 도덕적 직관이라고 하였는데, 혐오감이 들면 도덕적 규칙이고, 혐오감이 들지 않으면 사회적 인습인 건가요? ‘문화적 학습’과 ‘선천적 도덕적 직관’이 각각 사회적 인습과 도덕적 규칙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학습에 따라 도덕적 직관이 들게 되는 것이 맞나요? 3. 교과교육론 교재 148p 나바에즈: 교사는 네 번째 수준에서 학생들에게 멘토와 다양한 정보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교사가 학생에게 멘토를 제공한다는 건가요, 학생들이 멘토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건가요? 멘토는 교사인가요? 4. 교과교육론 교재 141p 유사한 도덕 모듈의 발현 패턴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집단 내 강한 이타성, 집단 외 강한 배타성을 보인다고 하는데, 연결이 어떻게 되는지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도덕 모듈이 선천적인 것이 이타성 배타성과 무슨 관련이 있나요? 5. 이건 교과교육론 질문은 아니긴 한데, 칸트 윤리사상 2008년도 17번 문제에 ‘도덕 법칙에 대한 존중은 ( )이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천)은 안 되고 (순수 실천)만 가능한 건가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장마철인데 건강 조심하세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