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질문입니다 + (동양)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7월 17일 20시 05분
- 조회수
- 307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은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도덕적 가치와 관련되는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그러한 기본적 가치에 의거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덕적 사고 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법리적 모형 혹은 가치 갈등 수업 모형은 가치 갈등 상황에서 그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도덕적 사고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실제로 법리적 모형 혹은 가치 갈등 수업 모형은 가치 갈등 상황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합리적 절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처럼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과 법리적 모형은 합리적인 도덕적 사고 능력의 신장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나, 전자는 민주주의의 기본적 도덕적 가치를 원리로 한 도덕적 사고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후자와 차이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두 모형을 따로 구분하여 공부하셔야 합니다.
2. 6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가치 분석 모형은 콤즈가 제시한 것이고,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가치 분석 모형은 쿰즈의 모형을 우리 도덕과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둘 사이의 본질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3. 대체는 사덕과 사단, 양지와 양능을 포함하고 있는 인간의 본래 마음이고, 소체는 육체에서 비롯되는 감각적 욕구입니다.
▒▒▒▒▒▒ [박민선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남깁니다!
1. 셰이버의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과 ‘법리적 모형’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이론적 근거정립 모형은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도덕적 가치를 명확히 이해하고 그것에 의거해 가치와 관련된 판단을 잘하도록 하는데 있다고하고
법리적 모형은 사회에서 발생한 문제들응 해결하기 위해 입장 차이 해소할 능력을 지닌 시민(재판관 같은)을 길러내는거라고 하는데
결국은 둘다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학생을 교육시킨다는 점에서 비슷한거같은데,, 법리적 모형은 가치갈등 영역에 속해있어서,,! 따로 구분해서 공부해야하는지, 같은건지, 혹시 다르다면 어떤 점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2. 가치분석 수업 모형 교재부분을 보면 ‘가치 분석 모형의 구조’로 6개가 있고 / 수업모형 구조 5단계가 있는데 둘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또 구조에 있는 (1) 가치 문제 확인 및 명료화가 수업모형의 구조 2단계에 해당하는거같은데 둘은 어떤 관계인가요? 각각 다르기때문에 따로 외워야하는건지 관련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3. 맹자가 말한 대체와 소체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대체가 마음을 뜻하고 소체는 감각적 욕구를 뜻하나요? 재작년 시험에서도 정약용파트이서 대체 소체가 나왔었는데 대체 소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4. 맹자의 왕도정치는 인정이고 / 순자의 왕도정치는 예치라고 하였는데, 이때 두 사상가가 말하는 ‘왕도정치’는 덕으로서 다스리는 정치라는 뜻인가요? 그냥 이상적인 정치라고 이해하면될까요? 순자가 말하는 왕도정치도 덕으로서 다스리는 정치를 뜻하나요?
+ 5. 순자의 승계설이 왜 위민사상과 관련이 있나요?! 덕의 승계괴정이 왜 위민사상을 함의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