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이이, 이황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3년 07월 30일 21시 33분
- 조회수
- 103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1. 성(誠)은 천도(天道) 혹은 천리(天理)이고, 천리가 형기에 품부된 것이 성(性)입니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보면 마음의 본체인 성(性)은 곧 성(誠)입니다. 이는 모든 성리학자가 지닌 공통의 관점입니다.
2. 이황은 “기를 섞어서 성을 말한다면 성의 본연(본연지성)을 드러낼 방법이 없다”라고 주장하였지, 기질과 혼합된 성(기질지성)에서는 본연지성을 찾아볼 수 없다고 주장한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이황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두 개의 독립된 성으로 보는 견해에 반대합니다.
▒▒▒▒▒▒ [김윤지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1. 이이가 말한 성(誠) 개념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ㅠㅠ
성은 천리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성(誠)=성(性)인건가요?
마음의 본체를 말할 때 성(誠)이라고 해도 되는건가요?
다른 사상가들은 마음의 본체를 다 성(性)으로 칭하는데, 이이의 경우만 특이하게 성(誠)이라고 하는건가요?
2. '이황은 성을 이(理)만을 의미하는 본성과 기(氣)만을 의미하는 기품으로 나누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질과 혼합된 성(性)에서는 본연지성(本然之性)을 찾아볼 수 없다고 보고, 장재와 정이가 기질지성(氣質之性)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도, 그것이 본연지성과 구분된다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한다.' 미래엔 지도서에 있는 내용인데, 저는 이황 이이의 본연지성-기질지성 관계에 대한 입장이 주희와 차이가 없다고 알고 있어서 혼란이 왔습니다. 이황은 기질지성 안에 본연지성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본 건가요..?? 그리고 본성과 기품이라는 단어의 의미도 잘 모르겠습니다. 기품은 기질의 품질을 의미하나요?
날씨가 더운데 건강 조심하세요!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