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콜버그 도덕 딜레마 토론 수업 모형의 심층적 질문이 궁금합니다.

작성자
장유진
등록일
2023년 07월 31일 00시 32분
조회수
437
첨부파일
교수님, 안녕하세요. 늘 좋은 강의로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이론 강의를 들은 뒤 도덕딜레마 토론수업 모형 이해를 위해 수업 도중 말씀해주신 <도덕교육의 6가지 모형> 책을 참고하던 중 의문이 드는 부분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도덕 딜레마 토론 모형에서 도덕적 토론의 심화에는 심층적 질문하기, 다음 단계의 주장을 강조하는 질문, 명료화와 요약, 역할채택을 위한 질문이 있습니다. 여기서 심층적 질문하기는 다시 4가지 질문으로 나뉘는데 이는 명료화를 위한 질문, 특정 이슈에 대한 질문, 역할 교한 탐색, 보편적 결과 탐색으로 구성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런데 6가지 모형 책에서 7장의 인지적 도덕 발달 모형의 p205를 참고해 보았을 때, 질문 정제하기(저는 이것이 심층적 질문하기라고 이해하였습니다.)의 심층 탐측 질문이 다섯 가지라고 나와 있었습니다. 이는 명료화 탐측, 특별 쟁점 탐측, 상호 쟁점 탐측, 역할 전환 탐측, 보편적 결과 탐측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나머지 4가지는 수업 중 배운 질문들에 대응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상호 쟁점 탐측이라는 부분은 말씀해주신 적이 없는 것 같아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추가적으로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책도 찾아본 결과 여기에도 이슈 간 관계 탐색이라는 질문이 나와 있었는데, 이것이 6가지 모형 책에서 상호 쟁점 탐축(두 가지 도덕적 쟁점 사이에 있는 갈등의 해결 격려)와 동일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심층적 질문하기의 유형은 4가지가 아닌 5가지로 이해해야 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원래 말씀해주신 4가지만 참고해도 무방할까요? 이 부분이 너무 헷갈려서 질문드리게 되었는데 가능하시다면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날씨가 정말 무더운데 건강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본문

댓글목록